'한국경제가 노령화돼 가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한국경제의 조로(早老)화를 나타내는 7가지 현상'이란 보고서를 통해 외환위기 이후 경제체질이 허약해지면서 곳곳에서 조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경련은 "호황은 짧아지고 불황은 길어졌다"며 지난 72년 3월 이후 98년 8월까지 총 6번의 경기순환기 중 경기확장기의 평균 지속기간이 34개월이었지만,외환위기 이후 제7순환기(1998년8월~2003년7월) 중엔 24개월로 단축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경기수축기의 평균 지속기간은 19개월에서 35개월로 연장됐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은 또 올해 우리경제가 4% 성장에 그쳐 세계평균(5%)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며 "경제성장률이 2년 연속 세계평균을 밑돌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와 함께 전경련은 기업심리가 과도하게 위축되면서 설비투자 증가율은 한 자릿수대로 추락하고 투자총액은 외환위기 직전보다 감소하는 등 "투자답보로 경제성장률이 급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중소기업인은 물론 심지어 택시운전사,식당 주인까지 모두 못 살겠다고 아우성이다.


IMF환란 당시보다 더 심하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하지만 불황 속에서도 승승장구하는 기업과 제품은 분명 있게 마련이다.


소비자 입맛에 맞는 독특한 컨셉의 제품으로 판매량이 꾸준히 늘어나는 브랜드가 있는가 하면,'혁신적'이고 '새로운' 기술로 불황의 파도를 넘는 기업도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이웃 일본에서는 10년 장기불황을 겪으면서 위기를 성장의 발판으로 삼아 오히려 일약 국민기업으로 떠 오른 사례가 수두룩하다.


불황에 관계없이 성장가도를 이어가는 기업 제품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삼성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핵심사업에 충실 △시장변화에 발빠르게 대응 △고객밀착경영의 체질화 △끊임없는 혁신 등을 불황극복 기업의 공통점으로 제시했다.


핵심사업에 기업역량을 집중하고 치밀한 시장조사로 히트상품을 출시한다는 점,철저한 고객 밀착경영을 추구한다는 점,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혁신을 거듭한다는 점이 바로 고성장기업들의 공통분모라는 분석이다.


연구ㆍ개발과 생산,마케팅 등 일련의 기업활동이 철저하게 분화된 오늘날의 산업구조에서 '틈새'를 공략한 신기술과 서비스는 그 자체가 바로 훌륭한 교역의 대상이 된다.


공룡들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다윗의 몸에 골리앗의 힘을 가지기 위한 '능력과 의지'에 있다.


대부분의 중소업체들이 조업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는 등 비상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상황에서,단단한 기술력과 아이디어로 무장하고 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불황의 파고를 씩씩하게 헤쳐 나가는 중소기업들이 있다.


이들 불황을 이겨내는 기업의 공통점은 '지속적으로 R&D에 투자했다는 점'과 '회사를 살려야 한다는 팽팽한 긴장감을 늘 가진다는 점' '근로자를 경영의 파트너로 여긴다는 점'이다.


최고경영자와 직원들이 이러한 생각을 공유하며 회사를 살찌우고 있는 것이다.


매출은 시들한데다 인재는 등돌리고,여기에 경제회복시기도 불투명한 시대적 상황에서 '3중 고(苦)'의 먹구름을 헤치고 우량 중소기업으로 성장하는 '파워 브랜드'들이 있다.


땀과 눈물을 요구하고,껍데기가 깨지는 아픔을 동반하는 혁신과정을 이겨내며 '내일의 경제주역'으로 거듭나는 숨은 강자들의 성공비결과 그들만의 특별한 마케팅현장으로 들어가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