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영등포에서 병원을 운영하는 K씨는 10년 전 강원도 홍천군에 있는 폭포 인근에 땅을 매입했다.


가격은 평당 1만원선이었다.


K씨는 최근 그 땅을 평당 6만원에 팔라는 제의를 받았다.


땅이 있는 마을 사람들이 동네 주민들의 공동 목적으로 매입한다면서 제시한 가격이었다.


마을 이장은 "사실 평당 5만원도 받기 힘든 땅이지만 주민들에게 꼭 필요해서 비싸게 쳐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말을 듣고 그는 얼른 계약서에 도장을 찍었다.


많이 오르기도 했고 시세보다 비싸게 사주겠다니 망설일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그는 잔금까지 받은 뒤에야 그 땅을 시세의 반 값에 매도했다는 사실을 알았다.


알고보니 당장이라도 평당 12만원은 받을 수 있었다.


폭포 옆에 붙어있으면서도 개발이 가능한 땅이어서 희소가치가 높았기 때문이었다.


K씨가 시세보다 훨씬 싼 값에 땅을 넘긴 것은 결국 정확한 가격을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었다.


사실 외진 곳에는 중개업소가 없다보니 동네 주민들에게 물어봐야 시세 파악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배타적인 성향을 가진 시골 사람들은 시세를 정확하게 이야기해 주지 않는다.


외지인이 땅을 사러왔다고 하면 시세보다 턱없이 높게 부르고,반대로 팔러왔다고 하면 시세가 형편없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토지시장에선 동네주민의 말을 무턱대고 믿었다가 큰코 다치는 사례가 의외로 많다.


지방권 토지시장이 각광받으면서 땅맛을 본 이들이 많아 요즘은 서울 사람 뺨치는 사례도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귀띔이다.


연예기획사 사장인 K씨는 18년 전 강원도 홍천강변에 소재한 땅 10만평을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았다.


이 땅은 홍천강 조망이 가능해 요즘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다.


그는 최근 모기획부동산으로부터 땅을 40억원에 팔라는 제의를 받았다.


땅을 가지고 있다는 것조차 잊어버리고 살았던 그는 그제야 자신의 땅값이 크게 오른 것을 알았다.


옛날에는 농사를 짓는 것이 불가능해 별 가치가 없는 땅이었는데 전원주택 펜션 바람이 불면서 지금은 전답보다 휠씬 가치가 높아져 있었다.


마침 사업상 돈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기획부동산의 제안에 솔깃했다.


땅값을 현금으로 지불하고,그것도 일시불로 주겠다고 제시한 점도 매력이었다.


그런데 계약서를 쓰기 직전 동네 이장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땅을 팔지 말라는 것이었다.


당장 50억원은 받을 수 있는 땅을 싸게 넘길 이유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 말은 들은 K씨는 일단 계약 날짜를 뒤로 미뤘다.


그리고 믿을 만한 전문가들에게 가치 평가를 의뢰했다.


전문가들은 50억∼60억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마터면 10억원 이상 손해볼 뻔 했다는 생각에 K씨는 가슴을 쓸어내렸다.


땅을 파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앞의 두가지 사례에서 봤든 돌아가는 사정을 모르면 시세보다 턱없이 낮은 값에 땅을 매도하게 된다.


그렇다면 제값을 받고 파는 방법은 무엇일까.


물론 시세를 정확하게 조사해 보는 것이다.


그러려면 발품을 많이 팔아야 한다.


땅 주변의 동네사람들도 잘 사귀어야 한다.


있는 그대로 이야기를 들으려면 그 방법밖에 없다.


이 때 가장 좋은 전략은 먼저 베푸는 것이다.


하다 못해 음료수라도 사들고 찾아가서 마음을 얻어야 한다.


도무지 시세파악에 자신이 없다면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도 방법이다.


컨설팅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 속아서 헐값에 파는 것보다 휠씬 낫다.


부자일수록 컨설팅을 잘 활용한다.


반면 돈이 별로 없는 사람들은 비용이 아까워서인지 스스로 해결하려다가 낭패를 보곤한다.


믿을 만한 중개업소를 확보해 그에게 중개를 맡기는 것도 좋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