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항도 외국과 같이 항공기와 새떼가 부딪치는 조류 충돌사고가 해마다 늘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런 사실은 최근 조류 전문가들의 지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이번 국정감사자료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20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가 민주당 이낙연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2001년 이후 올 상반기까지 확인된 조류 충돌사고는 총 2백30건으로 2001년 63건이던 것이 지난해 75건,올해 상반기에는 19건으로 전년 동기(15건) 대비 26.7%나 증가했다. 이로 인한 피해액도 막대하다. 김포공항은 피해액이 31억6천여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김해,인천,광주·울산,제주공항순이다. 경희대 유정칠 조류연구소장은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철새들의 중간기착지로서 조류충돌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김해공항과 제주공항도 해안 및 강가와 농경지에 인접해 계절에 따라 백로 오리류 등 철새와의 충돌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내 공항의 조류퇴치는 새떼를 놀라게 하는 폭음탄이나 새 비명소리를 들려주는 경보기 및 공포총 등으로 소극적인 방법에 불과하다"며 "지역마다 조류종류와 이동패턴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연구와 새떼가 날아앉지 못하도록 서식지 관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 캐나다 영국 등 선진국은 90년대를 전후해 조류 전문가들로 구성된 조류퇴치전문팀을 확보,조류충돌 예방에 선구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 그러나 국내 공항은 현재 인천국제공항에만 조류 전문가 한 명을 확보해 퇴치 용역팀을 관리할뿐 다른 공항은 전문가가 전무한 상태이고 조류퇴치 작업도 사격연맹 등에 용역을 의뢰하고 있는 수준이라는 것. 각 공항은 실질적으로 조류충돌을 최소화하려면 조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종합 통제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