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 금리인상 압력이 고조되고 있다고 미 브렌다이스대학 스티븐 세체티 교수가 24일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문에서 주장했다.

세체티 교수는 "운좋게도 정책 당국자들은 1970년대 경험으로부터 중요한 교훈을 얻었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이 재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고운을 뗐다.

유가는 지난 1970년 배럴당 4달러에서 1980년 40달러로 치솟았으며 그 결과로미국의 물가가 18%이상 상승하고 경제성장률은 하락했다.

세체티 교수는 "지속적 유가 상승에 직면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유가 상승이유발하는 인플레이션 이상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가 상승은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야기, 경제 안정 책임을 맡고 있는통화정책 당국에 도전이 된다"며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과 생산을 억제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1970년대 유가가 극적으로 상승했을 때 정책 당국자들은 금리를 내리는 우를 범했다"며 "4반세기 전 미국의 높은 인플레이션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유가 인상에 대응해 통화정책 당국이 긴축정책을 펴지 못한 데 따른 직접적 결과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라고 지적했다.

세체티 교수는 "명목금리가 변동하지 않을 경우 물가상승은 실질금리를 낮추는셈이어서 은연중에 방만한 통화정책의 결과를 낳는다"고 덧붙였다.

그는 "따라서 유가가 10달러 오를 때마다 금리는 최소한 0.5%포인트 인상돼야한다"며 "4%선에 있어야 할 연방기금 금리가 이에 훨씬 못미치기 때문에 금리 인상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지금과 같은 금리 인상 속도라면 내년 말까지 미 연방금리는 중립적(인플레이션상쇄) 수준에 이르지 못할 것이라는 게 세체티 교수의 분석이다.

세체티 교수는 논란이 되고 있는 전략석유비축(SPR) 운용을 통한 유가 안정의대안도 잠깐 언급한 뒤 "유가를 안정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이 찾아질 때까지는 통화정책 당국이 최전선에 남게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끝으로 "오늘날 통화정책 당국이 할 수 있는 일은 취약한 경제 상황에 금리를 올린다는 인기없는 행동"이라면서도 "그러나 대통령선거 6주 전에 열리는 다음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FRB가 `용기'를 갖기를 바란다"고 압박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영묵기자 economan@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