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15∼29세) 문제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은 기업의 일자리 감소와 경력직 선호,구직자의 고학력화 등의 요인이 복합적인 악재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가 19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등을 근거로 청년실업 발생원인을 분석한 결과 수요 측면에서는 기업의 일자리 감소와 경력직 선호 등이 핵심 원인이었다. 공급 측면에서는 대학진학률 증가에 따른 고학력화와 구직자의 눈 높이 조정실패,청년층의 가족 의존성 등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 일자리 감소와 경력직 선호도 증가=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청년층 취업자는 지난 96년 5백42만1천명에서 지난해 4백60만6천명으로 81만5천명이 줄었다. 청년층 고용률(취업자/생산가능인구)도 96년 46.2%에서 지난해 44.4%로 낮아졌다.

30대 대기업과 공기업,금융업 등 주요 기업만 보더라도 취업자수가 97년 1백58만7천명에서 올해 1백30만1천명으로 27만1천명이 줄었고 전체 취업자 가운데 청년층 비율도 97년 40.6%에서 올해 31.0%로 감소하는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일자리가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주요 기업들의 경력자 채용 비중은 96년 39.6%에서 2000년 77.0%,올해 79.0% 등으로 높아졌다. 신규 졸업자보다 즉시 활용 가능한 경력직 채용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는 셈이다.

청년층 임금 근로자 가운데 임시·일용직 비중이 96년 41.7%에서 2000년 54.4%,지난해 49.7%로 증가,고용의 질도 악화됐다.

◆구직자 고학력화와 눈 높이 조정 실패=대학 진학률이 지난 80년의 27.2%에서 90년 33.2%,2000년 68.0%로 높아졌으며 지난해엔 79.7%에 달했다. 95년부터 지난해까지 대졸자수가 18만명이나 증가한 반면 교육이 노동시장 수요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인력 수급의 양적·질적 불일치가 발생했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학교 교육을 마친 뒤 처음 취업할 때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11개월이었다. 청년층 취업 경험자 가운데 67.4%만이 6개월 이내에 처음 직장에 들어갔을 뿐 19.1%는 6개월∼2년 미만,13.4%는 2년 이상 장기 미취업 상태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실업 현황=지난 6월 현재 청년 실업자수는 전체 실업자 76만3천명의 50.8%인 38만7천명,청년 실업률은 전체 실업률 3.2%의 2.4배인 7.8%에 이르고 있다.

청년 실업률은 98년 12.2%까지 치솟았다가 2000년 7.6%,2002년 6.6%로 떨어졌지만 경기 위축으로 인해 지난해 7.7%로 다시 높아졌다. 여기에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지 않아 통계상 청년 실업자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 등을 통해 취업을 준비중인 '취업준비 비경제활동인구' 30만6천명을 포함하면 전체 청년취업 애로층은 69만3천명,재학·휴학생을 제외하면 54만7천명에 달해 체감 실업률은 최고 9.8%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