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년실업(15∼29세)이 심화되고 있는 것은 기업의 일자리 감소와 경력직 선호, 구직자의 고학력화 등의 주요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노동부에 따르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등을 통해 청년실업 발생원인을 분석한 결과, 수요 측면에서는 기업의 일자리 감소와 경력직 선호 등이, 공급 측면에서는 대학진학률 증가에 따른 고학력화와 구직자의 눈높이 조정 실패, 청년층의가족 의존성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청년 일자리 감소와 경력직 선호도 증가 =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조사에 따르면 청년층 취업자는 96년 542만1천명에서 지난해 460만6천명으로 81만5천명 줄었으며, 청년층 고용률(취업자/생산가능인구)도 96년 46.2%에서 지난해 44.4%로 청년층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30대 대기업과 공기업, 금융업 등 주요 기업만 보더라도 취업자 수가 97년 158만7천명에서 올해 130만1천명으로 27만1천명 줄었고, 전체 취업자 가운데 청년층 비율도 97년 40.6%에서 올해 31.0%로 감소하는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주요 기업들의 경력자 채용 비중은 96년 39.6%에서 98년 61.9%, 2000년 77.0%, 올해 79.0% 등으로 신규 졸업자보다 즉시 활용 가능한 경력직 채용 경향이 급증했다.

청년층 임금근로자 가운데 임시.일용직 비중이 96년 41.7%에서 2000년 54.4%,지난해 49.7%로 증가, 고용의 질도 악화됐다.

◆구직자 고학력화와 눈높이 조정 실패 = 대학 진학률이 80년 27.2%에서 90년 33.2%, 2000년 68.0%, 지난해 79.7%로 늘어나 95년부터 지난해까지 대졸자수가 18만명이나 증가한 반면 교육이 노동시장의 수요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인력 수급의양적. 질적 불일치가 발생했다는 게 노동부의 분석이다.

학교교육을 마친 뒤 처음 취업할 때까지의 소요기간은 평균 11개월이며, 청년층취업 경험자 가운데 67.4%만이 6개월 이내에 처음 직장에 들어갔을 뿐 19.1%는 6개월∼2년 미만, 13.4%는 2년 이상 장기 미취업 상태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의 임금은 66%, 법정외 복리비는 56% 수준으로, 기업간 임금.근로조건이 커다란 격차를 보이면서 청년층의 중소기업 기피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전체 구직자의 희망 임금은 131만원인 데 비해 청년 임금근로자의 실제 평균 임금은 116만원으로 13.1%의 눈높이 차이도 발생했다.

◆독립한 청년층 취업률 높아 = 우리나라 특유의 가족의존 전통도 청년실업의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지적됐다.

경제활동인구조사의 미혼남자 취업률을 비교하면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경우가68.4%로, 분가해서 독립한 가구주의 87.2%보다 크게 낮았다.

청년층 취업경험자의 취업경로를 조사한 결과, 연고에 의한 경우가 50.6%, 이가운데 가족이나 친지 소개에 의한 취업이 27.6%에 달한 반면 직업안정기관이나 취업박람회를 통한 취업은 2.0%, 학교내 취업소개기관을 통한 경우는 1.6%에 지나지않는 등 진로지도나 직업안정 기능이 취약한 것도 청년실업의 원인으로 꼽혔다.

◆청년실업 현황 = 지난 6월 현재 청년 실업자 수는 전체 실업자 76만3천명의 50.8%인 38만7천명, 청년 실업률은 전체 실업률 3.2%의 2.4배 수준인 7.8%로 집계됐다.

청년 실업률은 98년 12.2%까지 치솟았다 2000년 7.6%, 2002년 6.6%로 떨어졌지만 경기 위축으로 인해 지난해 7.7%에 이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지 않아 통계상 청년 실업자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 등을 통해 취업을 준비중인 `취업준비 비경제활동인구' 30만6천명을 포함하면 전체 청년취업 애로층은 69만3천명, 재학.휴학생을 제외하면 54만7천명에 달해 체감 실업률은 최고 9.8%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노동부는 "교육부 등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청년실업대책 태스크포스'를 구성, 현재 추진중인 청년실업대책을 검토 보완해 실효성있는 정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