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경우 하반기 중 투기지역이 해제되면서 거래가 활기를 찾을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정부의 정책 발표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다만 투기과열지구 해제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분양권전매 차익을 노린 투자는 당분간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

특히 실수요보다 투자 목적이라면 지방시장도 가격차별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지역주민의 선호도가 높고 인프라 시설이 충분한 대규모 단지를 공략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분양을 받은 후 잔금을 치르는 단계에서 임대시장 상황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 지방아파트는 분양가를 받은 후 오히려 자산가치가 하락하는 사례도 많기 때문에 선별적인 청약이 필요하다

내년부터 시행예정인 원가연동제와 채권입찰제 등의 정부정책에도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

원가연동제가 시행되면 전용면적 25.7평 이하는 분양가 하락으로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건설사의 공급기피로 오히려 전체 공급물량은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기존 아파트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채권입찰제 도입은 중대형 평형 아파트의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따라서 그동안 갈아타기를 통해 집을 넓혀온 실수요자들에게는 오히려 평형늘려가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는 만큼 청약단계에서부터 세심한 전략이 필요하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은 "공급물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가급적 청약통장을 아끼고 사전예약이나 미분양물량을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지방지역의 시세상승 폭이 수도권보다는 미미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전인식과 장기적인 발전가능성을 점쳐보는 안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