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리가 미국의 금리인상을 계기로 빠르게 상승한다면 주택가격의 하락이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신용카드에 이어 가계부실의 또다른 축이 형성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LG경제연구원 김성식 연구원은 1일 내놓은 '미국 금리인상의 국내 주택시장 파급효과'라는 보고서에서 "현재 국내 금리는 적정금리 수준보다 저평가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이 말했다.

보고서는 "이 경우 다소 느슨한 자산디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며 "그러나 현재로서는 일본과 같이 급격한 자산디플레이션이 일어나면서 복합불황이 일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은행권의 주택가격 대비 담보대출비율(LTV)이 60% 이하로 떨어져 부실에 대한 흡수력이 향상돼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담보자산이 부실화돼 신용경색으로 나타나기까지는 아직 충분한 완충공간이 있다고 설명했다.

금리와 주택가격의 관계를 보면 금리의 절대수준보다는 적정금리(경상GDP 성장률)와 현실금리의 차이가 주택가격 변화에 설득력있는 논거가 돼온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적정금리보다 현실금리가 낮았던 1987∼1988년, 1990년, 1994년, 1999년, 2002년의 경우 예외없이 아파트가격이 상승했다.

반대로 적정금리보다 현실금리가 높았던 시기인 1988년, 1992∼1993년, 1995년에는 주택가격 상승이 둔화되거나 하락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2002년 이후 현실금리가 적정금리보다 낮은 상태가 지속됐으며 시중자금이 부동산시장으로 급속히 유입되면서 아파트가격 상승이 가속됐다면서 이는 그만큼 금리변동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금리인상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주택가격은 하향 조정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우기자 jungw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