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 구조상 주가 하락 자체가 직접적으로소비 등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매우 작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4일 '실물시장과 따로 가는 주식시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최근 국내 주가는 단순히 경기 참조 지표의 역할만 할 뿐 그 자체의 변동이 소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론상으로 주가가 상승하면 가계가 보유한 주식 자산의 가치가 높아지는 '부(富)의 효과'가 발생하고 경기 회복 및 그에 따른 소득 증가 기대가 커짐에따라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나타난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가계의 주식 보유 절대 규모가 지나치게 작고 자산 중 주식의 비중도 계속 낮아져 이 '부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그 근거로 국내 가계 보유 주식자산의 GDP 대비 비중이 2003년말 현재8.2%에 불과, 미국(81.9%)은 물론 일본(13.8%)에 비해서도 크게 낮다는 점을 들었다. 또 가계의 금융자산 중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03년말 현재 5.8%에 그쳐미국(29.3%) 등과 큰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지난 2002년까지는 실질 주가가 경기동행지수를 1~3분기 정도 선행하며 소비자들의 경기 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3년 이후에는 이 주가의 경기 선행성이 크게 떨어져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 역시 크게 약해졌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같은 현상에 대해 "주가의 '경기회복 기대 효과'가 약해진 것은 카드 버블 붕괴, 가계 부채 부담 증가, 고용 위축 등으로 가계의 자신감이 크게 결여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노진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부의 효과나 경기기대 효과의 약화로 최근 주가 급락이 당장 소비나 투자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주식시장의 역할이 작아질수록 장기투자를 위한기업의 자본 조달이 어려워지는 등 경제 성장 기반이 약해질 수 있어 정부는 주식시장에 대한 세제 완화나 부동산에 대한 과세 강화를 통해 자금의 선순환을 유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기자 shk99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