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티파크의 청약과열에 대해 정부는 분양권 전매금지를 앞둔 마지막 과열현상이라는 입장을 보이면서도 강력한 투기단속에 나서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반면 전문가들은 시중에 떠도는 부동자금이 여전히 부동산시장 주변에 머물러 언제든지 불안을 가중시킬 우려가 큰 만큼 거시경제 차원에서 투기성 자금을 분산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권도엽 건설교통부 주택국장 = 분양권 전매가 가능한 데다 주택공급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는 마지막 물량이라는 점이 투기심리를 불러일으킨 것 같다. 다음달부터는 주상복합아파트도 청약통장 가입자에게 우선 공급되는 등 청약조건이 까다로워져 실수요자 위주의 청약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정부는 시장안정 차원에서 시티파크의 불법전매를 철저히 단속해 미등기 전매 등이 적발되면 법에 따라 엄중 조치하는 등 투기가 사라지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국세청에서도 별도로 투기행위에 대한 정밀 조사를 벌여 양도세를 회피하는 불법행위를 막을 방침인 것으로 알고 있다. 김현아 건설산업硏 연구원 = 시중 부동자금이 워낙 많은 반면 돈 굴릴 데가 그만큼 없다는 것을 보여준 단적인 예다. 물론 입지여건이 좋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치는 물론 경제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느끼고 있는 불안심리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정부는 경제가 조기에 회복되고,기업들이 설비투자를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등 부동자금이 분산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줘야 한다. 김학권 세중코리아 사장 = 미군기지 이전,부도심 개발 등 용산지역의 발전 잠재력과 분양권 전매효과가 함께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아파트를 비롯해 대부분의 부동산 상품이 각종 규제에 묶여 있는 데 따른 반사작용도 한 몫했다. 자금 여력이 있는 투자자들의 경우 웃돈을 주고라도 입주하겠다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단기 전매차익을 노리는 투자자 외에 장기 투자자들도 가세했다는 얘기다. 수조원의 청약금이 한꺼번에 몰린 이번 시티파크 청약과열은 그동안 관망세를 보이던 소비자들의 투자심리를 자극하는 신호탄이 될 수도 있다. 택지개발지구나 강남권 등 입지여건이 좋은 신규분양 시장에 수요자들을 다시 끌어들이는 촉매제로 작용할 수도 있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