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변형(GM) 식품 등 바이오기술 상품의 국제교역에 관한 규칙 제정을 위한 국제회의가 27일 콸라룸푸르에서 5일간의 회기를 마무리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제품정보 표시확대 등 주요현안에 대해 GM 작물의 최대 수출국인 미국과 다른 국가 간에 치열한 다툼이 벌어졌으나 결국 제품정보 표시를 강화키로 결정하는 등 바이오기술 상품의 교역기준을 강화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참가국들은 바이오기술 상품 국제교역시 상품확인서와 라벨에 유전자조작 성분의 과학적 명칭과 특징을 구체적으로 표시토록 하는 한편 바이오기술 상품으로 인한 피해 구제 국제기구 설립을 위한 전문가그룹도 만들기로 했다. 또한 각국이 지난해 9월 발효된 카르타헤나 의정서에 따라 바이오기술 상품 규제를 전담할 특별세관과 독자적인 검역기관을 설립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참가국들은 회기 내내 의견대립양상을 보였으나 폐막일인 이날 오전 주요 쟁점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는데 성공한 것으로 전했다. 바이오기술 상품에 대한 교역기준 강화에 반대입장을 고수한 미국은 카르타헤나 의정서 미비준국이라는 약점 때문에 결국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지 못했다. 이번 회의결과에 대해 변화를 원치 않은 미국에 맞선 국제사회의 부분적인 승리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그린피스 등 국제환경단체들은 유전자조작 방법에 대한 표시의무가 포함되지 않는 등 회의결과가 다소 미흡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린피스의 도린 스타빈스키 대변인은 유전자식품 등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제사회의 첫 조치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지만 바이오기술 상품으로 인한 환경파괴와 먹이사슬 교란을 막기에는 회의 결과가 미흡한 것 같다고 말했다. 카르타헤나 의정서는 지구상의 다양한 생물종을 바이오기술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전세계 86개국과 유럽연합(EU)이 비준했으나 미국은 서명조차 하지 않은 상태이다. (콸라룸푸르 AP=연합뉴스) k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