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의 한파가 입춘을 넘기면서 조금씩 사그라들고 있다. 봄철 분양 성수기를 앞두고 신규 공급 물량도 급증세를 보이고 기존 주택시장도 이사철이 겹치면서 매수세가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업체들도 기존 가수요 위주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을 버리고 전격적인 품질 마케팅으로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친환경ㆍ친건강ㆍ친문화 등을 포괄한 '웰빙' 개념을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정부도 무주택자들에게 공급될 우선 분양 물량을 75%로 확대하는 등 시장을 실수요자 위주로 바꾸기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이로써 올 봄이 실수요자들에게는 새 집을 분양받는데 적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주택시장을 달궜던 주상복합과 오피스텔 시장은 극심한 침체 양상을 보이면서 깊은 겨울잠에 빠졌다. 하지만 입지 여건이 좋은 대단지나 전매 제한이 없는 물건은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토지시장은 올 봄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 부문이다. 고속철도 개통과 행정수도 이전, 뉴타운 개발, 용산 미군기지 이전, 그린벨트 해제 등 정부의 각종 개발재료가 넘쳐나고 있기 때문이다. 투기근절 대책이 잇따르고 있지만 달아오르는 투자 열기를 잠재우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 올 봄, 내집 마련 적기 정부의 강력한 안정대책에 겨울 비수기가 겹치면서 극심한 침체를 보였던 신규 분양 시장이 봄 기지개를 켜고 있다. 신규 분양 물량도 봇물을 이룰 전망이다. 이달 전국에서 5만7백여가구가 공급될 예정이고 다음달엔 11만2천여가구, 4월 11만9천8백여가구 등으로 물량 증가가 예상된다. 수요자들은 수도권과 개발재료가 있는 지역, 택지지구 대단지 등 유망한 단지에 눈길을 돌려볼 만하다. 분양가도 안정될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분양가 인하 압력이 거세지고 분양시장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탓이다. 기존 주택시장도 작년 이후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다. 입주 물량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엔 8천6백여가구, 다음달엔 8천8백여가구, 4월엔 1만5천6백여가구 등이 집들이를 준비하고 있다. 올 봄 신규 주택시장엔 '웰빙' 열풍이 불고 있다. '잘 먹고 잘 살자'는 사회적 트렌드인 웰빙 개념을 마케팅 차원에서 도입한 것이다. 업계는 이를 주택에 소화하기 위해 친환경 마감재 사용, 단지의 공원화 등 쾌적성 향상, 각종 문화 취미시설 등을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 토지시장 열기 지속, 오피스텔 주상복합 침체 부동산 시장의 전체적인 침체 속에서도 토지시장만은 활황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최근 토지투기지역 확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전매 제한 등을 골자로 한 '토지시장 안정대책'까지 내놨다. 그러나 효과는 크지 않다. 오히려 투자자들은 그린벨트 완화,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산업단지 최소 기준면적 완화 등 토지 관련 재료에 더 마음이 쏠려 있다. 행정수도 이전, 고속철 개통 등 개발 호재를 갖춘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 가운데 수도권과 충청권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인근 지역에 추가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상복합과 오피스텔 시장은 올 봄에도 침체가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가 각종 규제책을 통해 투기 열풍을 잠재웠기 때문이다. 공급 과잉에 경기 침체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3백가구 미만의 주상복합 중 전매가 가능한 단지들은 틈새시장으로 수요자들에게 눈길을 끌 것으로 보인다. 오는 4월부터는 20가구 이상 주상복합도 전매 제한을 받게 돼 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정부 규제 이전에 사업승인을 받아 전매 규제에서 벗어난 단지는 반짝 인기를 끌 전망이다. 박영신 기자 ys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