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근로자수가 지난 90년보다 40% 가까이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젊은 연령층인 30대 미만 일자리는 무려 12만5천여개가 줄어든것으로 나타났다. 4일 노동부의 임금구조 기본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전체 근로자수는 643만7천680명으로 지난 90년의 467만3천237명에 비해 37.8% 증가했지만 30대미만 근로자는 208만3천888명에서 195만8천331명으로 오히려 12만5천557명(6.0%) 감소했다. 이에따라 전체 근로자에서 10~20대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말 현재 30.4%로 지난 90년의 44.6%보다 무려 14.2% 포인트 낮아졌다. 그러나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의 근로자수는 크게 증가했다. 노년층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60대 이상 근로자는 4만4천375명에서 20만712명으로 352.3% 늘어나면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 50대 근로자는 63만9천62명으로 31만7천236명에 비해 101.4% 증가했으며 40대도77만53명에서 149만1천789명으로 93.7% 늘어났다. 반면 30대 근로자의 증가율은 40대,50대,60대의 증가율을 크게 밑돌아 최근 유행어가 돼 버린 '38선'(38세 정년)이라는 용어를 입증했다. 30대 근로자 수는 214만7천786명으로 90년(145만7천685명)보다 47.3%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에따라 고령화 지수도 90년 6.7%에서 지난해 21.2%로 3배이상 높아졌다. 고령화지수는 55세이상 고령 근로자를 15∼29세 청년 근로자로 나눠 백분율화한수치다. 한국노동연구원 김정한 부연구위원은 "최근 청년실업이 사회문제화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가 고학력 추세에 접어든 데다 대부분 기업들이 젊은 층에 대한 신규 채용을 줄이고 경력자 위주로 고용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chunj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