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재무장관회의에서 '유연한 환율정책' 합의로 촉발된 환율쇼크가 일단 진정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것은 다행이라고 하겠으나 미국이 환율절상 압력을 점점 구체화하고 있어 우려를 금할 길이 없다. 미국 재계가 버그스텐 국제경제연구소장의 입을 빌려 위안화의 25% 평가절상을 요구하면서 이렇게 되면 원화도 10%는 절상될 것이라며 환율절상 압력을 노골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그스텐의 위치로 볼 때 이는 미국 정부의 입장이라고 해도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흘릴 일이 아니다. 이런 미국의 원화절상 압력은 미국이 중국 일본과 벌이고 있는 환율전쟁의 연장선상에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적어도 원화에 대한 절상요구는 미국이 강조하고 있는 경제실상을 반영한 유연한 환율정책과 거리가 멀다. 사실 경제 펀더멘털 면에서 본다면 원화가치는 상승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이나 최근 경제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일본과 달리 우리 경제는 금년도 성장률이 2%대에 불과하고 내년도 회복전망도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환율관리 면에서도 달러화에 고정돼 있는 중국이나 그동안 불황타개를 위해 환율관리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은 일본과 달리 우리 환율은 경제상황을 반영해 꾸준히 절상돼 왔다. 이는 원화환율이 지난 2001년 말 이후 13.9%나 절상돼 대미 흑자국 중 가장 높은 절상률을 기록하고 있는데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원화가 엔이나 위안과 같이 절상압력을 받을 이유가 없다는 것을 국제사회에 적극 설득하고 시장참가자들의 절상기대심리 해소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필요하다면 원화환율이 엔화나 위안화에 무조건 동조해 움직이는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시장개입도 불사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의 시장개입은 어느나라에서나 있는 일이고 IMF도 용인하는 개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