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용성 < 솔렉스플래닝 사장 > '5·23대책'으로 분양권 전매금지 지역(투기과열지구)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분양시장이 지나치게 과열되는 모습은 더 이상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전매차익을 노린 단기투자 세력이 시장에 끼어들 여지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은 양상은 분양권 전매가 1회에 한해 허용되는 7월 이전 분양물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아파트 청약시장은 이제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가수요가 줄면 청약경쟁률과 계약 후 형성되는 웃돈이 모두 하락하는 등 시장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부 부작용도 우려된다. 4백조원에 달하는 시중자금이 몰려들 '틈새'는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전매제한을 받지 않는 3백가구 미만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에는 청약희망자들이 대거 몰려들면서 분양시장이 과열될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분양권 시장의 경우 전매가 금지됐던 외환위기 이전처럼 이중등기에 의한 편법거래가 횡행할 여지도 있다. 건설교통부 등 부동산 관련부처가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이다. 이번 대책에서 나온 재건축아파트에 대한 후분양제도 도입은 분양시장뿐 아니라 부동산시장 전반에 걸쳐 '메가톤급' 파괴력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재건축아파트가 상당수 몰려있는 강남지역의 투기수요 억제에는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업기간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아파트 일반분양가가 대폭 상승하는 부작용도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또 앞으로 2년간은 일반분양을 통한 신규공급은 기대하기 어렵게 됨에 따라 비교적 저렴한 투자비용을 들여 분양을 받아 강남에 입성하려던 수요자들은 계획을 수정해야 할 것이다. 5·23대책 이후 이런 저런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기는 하지만 실수요자 입장에서 아파트 분양 받기가 쉬워졌다는 점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듯하다. 실수요자라면 부지런히 '발품'을 팔아 자산가치와 주거 편리성 등을 고려해 적극적인 청약에 나설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