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14일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용납할 수 없다는데에는 합의했지만 대북한 경제제재나 무력공격 위협 등에 대한 현격한 이견에 대해서는 애매한 외교적 발언들로 핵심을 피해갔다고 뉴욕 타임스 인터넷판이 논평했다. 신문은 `한미정상 대북 전략 모호'란 제하의 기사를 통해 노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이 이날 저녁 첫 정상회담을 마친뒤 서로가 아주 빨리 친해졌다며 양국이 "북한의핵무기를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선언했다고 전했다. 부시 대통령은 특히 올해초 외국 정상들을 만날 때 이라크나 사담 후세인에 대해 사용했던 언어들과는 지극히 대조적으로 북한에 대해 핵사찰 수용이나 핵물질 생산의 중단을 공개 요구하지 않았으며 김정일의 이름도 거론하지 않았다. 부시 대통령은 또 "북한과 관련한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이룩하는 쪽으로 훌륭한 진전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날도 전략의 차이는 아주 분명히 드러났다. 한국 정부가 이날 게재한 한 광고는 노대통령이 북한문제에 있어서 미국의 `군사적 방안 배제'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내려 하고 있다고 표현했다. 그러나 콘돌리자 라이스 국가안보보좌관과 애리 플라이셔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추구한다 해도 군사력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라이스 보좌관은 특히 부시 대통령이 지난달 베이징회담에 이어 또다른 협상에나설 용의가 있겠지만 모든 군사적 방안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고위 미국 관리는 노대통령이 회담에서 부시 대통령으로부터 군사력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얻으려 했느냐는 질문에 "그는 그것을 요구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그는 또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 문제도 논의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노대통령은 북한이 전쟁선포로 간주하겠다고 주장하는 경제제재 같은 자극적인조치를 검토하기에는 너무 이른 것으로 생각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 고위관리는 "여기에 점멸식 스위치는 없다"고 말해 미국과 한반도 주변국들이 북한에 대해 양단간의 과격한 조치를 취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압력을 높여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서울=연합뉴스) lk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