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 초대 각료를 선정하는 작업이 한창이라고 한다. 국민참여센터를 통해 추천된 1천8백70명을 대상으로 2단계 심사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금명간 10∼15배수의 인물을 선정해 전체 인사추천위원회로 넘긴다고 한다. 지난주에는 당선자가 직접 추천위원회에 참석해 인사기준에 대한 토론회를 가졌고 일부 각료자리에 대해서는 인수위가 직접 해당 정부부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까지 벌이고 있다는 보도다. 그러나 인선작업이 진행될수록 그 과정의 적합성에 대해 적지않은 궁금증과 의구심도 동시에 확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새정부 출범을 불과 2주일여 남겨놓은 시점에서 주요 경제장관 후보들의 면면이 아직 오리무중이라는 것부터가 우선 걱정스럽다. 섀도 캐비닛이 없었다는 저간의 사정은 이해할 만하지만 아직 인선기준조차 불명확한 것은 분명 문제다. 각료 제청권을 가진 총리 내정자가 이번 인선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지도 궁금하다. 실질적인 제청권을 보장한다는 당선자의 약속은 무엇이며 '국민추천'은 또 무엇인지 헷갈린다. 일부 유력인사들이 부하나 지인을 동원해 자신을 억지추천하도록 했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지만 인터넷을 거치기만 하면 '널리' 인재를 구하는 방법이 되는 것인지,또 그것이 현대 정당 정치,책임 정치의 이념과 구조에 맞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게 된다. 무자격 인사들이 인사운동에 더욱 열심이라는 풍문이 벌써부터 나돌고 있다는 점을 당선자측은 주목해야 한다. 경제각료 선정과 관련해 개혁이냐 안정이냐는 논란이 거듭되고 있는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 엊그제 노 당선자는 "국민이 안도할 수 있는 분을 모셨으면 좋겠다"고 밝혔다고 하지만 재벌개혁 3대 과제와 관련 '정면돌파와 협상불가'를 강조했던 개혁우선 정책과 '국민이 안도하는 분'이라는 또 다른 기준이 어떻게 조화를 이룰 것인지 궁금하다. 인수위가 특정 부처 내부인사를 상대로 후보 여론조사를 벌이고 있다는 보도는 더욱 우려할 일이다. 정부 조직개편 등 조직내 갈등과 진통이 예상되는 사안이 한둘이 아닌 터에 '내부여론'을 중시한 선택이 이루어진다면 장차 어떤 혼란이 초래될 것인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정부 각료는 특정한 기능보다는 고도로 복합적인 판단을 해야 하는 자리다. 경제분야는 더말할 나위가 없다. 대중의 선택이나 '개혁우선'등의 단선적 기준으로는 적임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그래서 경륜이라는 말도 있다는 것을 당선자측은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