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위기가 심각하다.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체의 CEO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이공계 대학을 나왔다고 하더라도 막바로 현장에서 쓸 수 있는 인력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반면 이공계 출신들은 다른 전문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끼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이공계가 붕괴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일부 우수대학을 집중 육성하고 국가 연구개발 예산을 전체 예산의 10%선까지 끌어올리는 등 특단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경제신문 특별취재팀이 이공계 출신 각계 인사 1백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다. ◆ 이공계 출신들 박탈감이 심하다 =이공계의 사기저하 이유로는 '전문직업 종사자에 비해 낮은 소득으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이 40.9%로 가장 많았다. '노력에 비해 대우가 낮다'(28.2%), '기술을 천시하는 분위기'(10.9%)가 그 뒤를 이었다. ◆ 이공계 연구인력 부족 심각하다 =이공계 출신 CEO의 절반 이상이 '이공계 인력 부족으로 애로를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쓸만한 인력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분야별로는 고급전문 연구인력 부족(78.6%)이 가장 심각했으며 산업현장 인력부족(17.8%), 일반 개발인력 부족(3.6%) 순으로 나타났다. 인력 부족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산.학.연 공동연구'(28.6%), '신규인력 채용'(26.5%), '외국인력 스카우트'(14.3%) 순으로 나타났다. ◆ 우수 이공계 대학 중점육성 필요하다 ='일부 우수대학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61.8%)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대학에 자율적으로 맡긴다'(22.7%), '모든 이공계 대학에 골고루 지원한다'(10.9%) 순으로 집계됐다.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영재교육에 대해서는 전체의 54.5%가 찬성한다고 밝혔다. 대덕연구단지의 경우 '전문 연구단지로 키워야 한다'가 58.2%를,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같은 전문 벤처밸리로 키워야 한다'가 22.7%를 각각 차지했다. ◆ 과기인력 총괄관리기능 갖춰야 =과학기술인력 정책의 경우 전체의 49%가 현행대로 유지하되 종합총괄기능을 갖춰야 한다고 응답했다. '과학기술부가 일괄적으로 맡아야 한다'(25.4%), '교육인적자원부가 맡아야 한다'(10.9%), '산업자원부가 맡아야 한다'(6.3%)는 의견도 나왔다. 연구개발 예산의 경우 전체의 43.6%가 점차적으로 약간씩 늘려 전체 예산의 10% 수준까지 도달해야 한다고 밝혔다. 30.4%는 2~3년 내에 선진국 수준까지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 지금의 수준에서 약간 늘려야 한다는 7.3%, 지금 수준을 유지하면 된다는 응답은 1%에도 못미쳤다. 정부 투자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47.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인력에 대한 보상강화'가 39.5%를 차지했다. 교육개혁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로는 대학과 산업과의 연계 시스템 구축(40.9%)이 꼽혔으며 입시제도의 개선(31.8%), 대학의 이공계 교육과정 개편(18.2%)이 그 뒤를 이었다. 특별취재팀 strong-kor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