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자치지역 점령에 항의한 이라크의 석유 금수조치로 촉발된 제3차 석유위기에 대한 우려는 정치분석가들의 일축에도 불구하고 완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미국의 저명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이 경고했다. 뉴욕타임스 컬럼니스트로 활동 중인 그는 9일자 신문에 '제3차 석유위기?'란 제목의 컬럼을 통해 소비자 구매력 약화 형태로 나타날 제3차 석유위기의 위험성을 지적하면서 석유위기가 시작되기 전에 외교적 돌파구를 찾을 것을 촉구했다. 다음은 크루그먼 교수의 컬럼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 지난 1973년 아랍권이 석유 금수조치를 취했을 때 유가가 폭등하고 세계적 경기침체가 뒤따랐다. 79년 이란혁명 때도 2차 유가폭등과 함께 국제적 경기침체가 이어졌다. 우리는 지금 제3차 석유위기의 위험에 직면해 있는가? 아니라고 말하고 싶지만 그렇지 못하다. 유가는 중동사태가 악화되기 시작한 이래 배럴당 10달러 가량 상승했다. 이 수준에서 유가가 유지된다 해도 경제에는 상당한 충격인데, 앞으로 더 큰 충격을 줄 수도 있는 상황이다. 정치 전문가들은 이라크가 한 달간 석유수출을 중단키로 한 결정에도 불구하고 지난 73년과 같은 광범위한 석유 금수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은 없다고 낙관론을 펴고 있다. 그러나 79년의 석유위기는 의도적 금수조치의 산물은 아니다. 경제학자들이 79년의 석유위기 현상에 대해 의견 통일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당시 상황이 최근의 캘리포니아 전력위기와 유사하다는 것이 내 견해다. 79년 석유위기와 캘리포니아 전력난은 가격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여유없는 시장상황과 수요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생산업자가 상당한 시장 지배력을 갖고, 가격을 올리기 위해 생산을 줄이는 것이 업체의 이익에 맞아떨어진다. 따라서 생산능력이 진짜로 부족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급등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그렇다면 현재의 세계 석유시장도 그만큼 빡빡한 상황인가? 아직은 아니다. 석유시장은 아직 하루 700만 배럴의 여분을 갖고 있다. 이라크가 하루 200배럴의 공급을 중단한다 해도 그것 자체로는 석유위기를 불러올 수 없다. 그러나 석유금수를 제안하고 있는 이란과 리비아의 석유 생산량을 합하면 여분은 남지 않게 된다. 문제는 정치상황이 크게 더 악화되지 않아도 시장지배 논리가 죽고 산유국들이 증산보다 감산이 재정적으로 더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빡빡한 시장상황을 만들어 낸다는데 있다. 석유위기가 그처럼 쉽게 발생할 수 있다면 지난 79년 2차 위기 이후 왜 추가적 위기가 없었는가? 이는 우리가 상당기간에 걸쳐 위기에 내성을 갖도록 경제를 다듬고 자기만족에 빠져왔기 때문이다. 70년대 석유위기 이후 서방 국가들은 에너지 효율성을 급격히 제고해 왔다. 미국의 경우 85년에 경제규모가 73년에 비해 3분의1 이상 커졌지만 석유소비량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또 페르시아만 산유국들의 석유생산량은 73년 절반 가량에서 85년에는 18%에 불과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시대의 급격한 석유소비 증가는 페르시아만 산유국의 생산확대로맞추는 것이 불가피해졌으며 유가는 다시 중동정치상황의 인질이 됐다. 유가가 급등하면 지난 79년과 같은 방식으로 재앙적 영향을 줄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하지만 또다른 형태로 재앙적 영향을 가져올 가능성은 있다. 지난 79년 석유위기 때 유가폭등에 따른 분명한 위험은 이미 인플레 기미가 있는 서방 경제를 통제불능의 인플레 소용돌이로 밀어넣는 것이었다. 주요 경제국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함으로써 인플레를 잡았지만 혹독한 경기침체에 빠져들었다. 지난 10년간 안정된 물가로 볼 때 현재 인플레 우려는 상당히 불식돼 있지만 대신 유가가 구매력의 발목을 잡는 것이 우려 대상이다. 유가가 배럴당 10달러 오르면세금을 700억달러 늘리는 것과 같으며 이 경우 중산층이나 저소득층 가정이 가장 큰타격을 받는다. 현 상황에서 구매력 약화는 좋은 것이 아니다. 작년에 급락한 기업투자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태다. 지금까지의 낙관적 경제전망은 기업이 다시 투자를 결정할 때까지 활기찬 소비지출이 경제를 떠받친다는 가정하에 이뤄진 것이다. 만약 소비자들이 유가상승으로 실질 소득이 감소하고 소비를 줄여야 한다면 이런 가정은 무너지게 된다. 그리고 연방준비제도이사회도 금리를 이미 6.5%에서 1.75%로 낮춰 추가적인 금리인하 조치로 대처할 수 있는 여력이 많지 않다. 이 때문에 현상황에서 제3차 석유위기가 실제 발생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을 유감스러워 하는 것이다. 석유위기는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 외교적 돌파구를 통해 석유시장을 진정시킬 수 있으며, 유가가澯쪄磯?해도 미 경제는 내가 우려하고 있는것보다 더 활기찰 수도 있다. (뉴욕=연합뉴스) 강일중특파원 kangfa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