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의 발전이 가속되면서 서비스 산업으로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조업 중심의 기존 환경정책에서 탈피해 서비스 산업에 대한 환경관리를 체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정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5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김광임 박사는 서비스업의 성장과 환경부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업에 대한 최종수요가 증가할 경우 서비스업 자체보다는 그와 연관된 다른 산업분야에서 심각한 수준의 환경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박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도소매업에 대한 수요가 10%가 증가할 경우 도소매업 자체에서는 대기오염 물질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소매업에 영향을 받는 전력과 도시가스, 수도업, 석유석탄 제조업, 운수 및 보관업 등의 생산증가가 유발돼 황산화물 발생량이 각각 연간 1천502t과 939t,869t씩 증가한다는 것. 또 도소매업의 수요가 10% 증가할때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산업폐수의 양은 많지않지만 도소매업과 관련이 높은 펄프제조업과 1차금속업 등에서는 각각 하루 4천27㎥와 2천204㎥의 폐수가 추가로 발생한다. 김 박사는 "경제의 서비스화가 촉진되면 대기오염 물질은 전력과 도시가스, 수도부문, 운수 및 보관부문 등에서의 배출이 많아진다" 며 "따라서 기존 제조업 중심의 환경정책 틀에서 탈피해 서비스업에 대한 체계적인 산업환경 관리체계의 구축이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대기와 수질오염 물질의 경우 서비스 산업이 유발하는 간접적인 환경영향에 대한 종합분석을 토대로 전체 산업적인 관점에서 통합관리하는 환경정책이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정규득기자 wolf8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