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들이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개발청사진 만들기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시장선거와 맞물린 선심성 개발계획에 목 말라온 일부 지방단체들은 구체적인 해제안이 확정되기도 전에 벌써 개발용역을 발주하는 등 개발열기를 높이고 있다. 특히 그동안 용지부족으로 개발벽에 부딪친 수도권의 경우 광명 음악밸리를 비롯해 군포 첨단산업단지, 화성 물류.유통단지 등 봇물 터진듯이 개발계획이 쏟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들이 저마다 ''지역숙원사업,공공성'' 등의 명분을 내세우고 있어 그린벨트 해제는 자칫 하면 지난 90년대 초 문민정부의 ''준농림지 난개발의 재판''이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경기도가 최근 시.군으로부터 그린벨트 개발계획(해제신청)을 접수한 결과 그린벨트를 끼고 있는 16개 시.군들이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23건을 내놓았다. 이들의 요구대로 하자면 서울 여의도의 3배 규모인 2백78만평이 해제돼야 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일단 해제해 놓고 보자''는 식의 경쟁심리까지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명시는 경부고속전철 광명역 인근의 소하리 13만평에 음악밸리를 조성키로 하고 이미 공청회를 마치는 등 사업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광명시는 음반 물류유통센터와 공연.전시장, 음반 생산시설 등 각종 시설을 건립하기 위해 조만간 음악 산업단지 지정을 신청한 뒤 오는 2006년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주거지의 일방적 팽창으로 고민중인 군포시는 첨단산업단지 7만평을 부곡동 인근에 조성키로 하고 준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발주중으로 해제가 확정되면 즉각 추진할 방침이다. 하남시는 그린벨트 해제로 옮겨가는 레미콘 단지 14만5천여평을 주택단지로 조성하는 한편 숙원사업인 청소년 수련시설 1만5천평을 건립할 계획이다. 고양시는 모두 39만평 규모의 미디어밸리와 테크노파크, 시신청사를 포함한 행정타운 건설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인천시 남동구는 소래 염전지대 44만8천평을 생태공원으로 조성키로 하고 내년중 국비 지원을 받아 건설에 나설 예정이다. 화성시는 물류.유통단지 18만평 조성을 계획중이며 과천시도 60만평의 테크노밸리를 조성하겠다고 나서는 등 대부분의 시.군이 그린벨트 개발에 한다리를 걸치고 있다. 지방 도시들에도 그린벨트 개발계획이 줄을 잇고 있다. 부산시는 장안읍과 정관면 일광면 일대 1백80만평을 동부산 관광단지로 개발해 해운대와 연계한 관광시설로 육성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30만평의 효천 역세권 개발과 7만평의 시보건환경연구원 건립, 10만평의 동구 쓰레기 매립장 등 추진중인 사업들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내친김에 남구 칠석동 고싸움 전시관 14만평과 임대주택단지 및 벤처타운 20만평 조성에도 나설 태세다. 울산시도 중구 다운동의 10만여평과 북구 어물동 일대 50여만평을 골프장으로 용도변경을 추진키로 했다.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고양시 환경운동연합의 김성호 대표는 "주민 재산권 회복 등 불합리한 부분을 개선하자는 당초 취지가 환경을 훼손하는 지역개발로 왜곡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토연구원의 신정철 연구위원은 "보전가치가 높은 환경평가 1.2급 지역은 택지나 산업단지로 개발하기보다 공원 녹지 등으로 보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명원 경기도 도시계획과장은 "경기개발연구원의 심도있는 검토를 거쳐 우선순위를 정하고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도록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강성식 건교부 도시정책과장은 "지역사업을 위한 해제는 사업타당성 등을 면밀히 따질 것이며 개발하더라도 수도권 정비계획과 환경영향평가 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개발토록 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 전국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