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면적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태평양 심해저가 한국의 독점적 개발광구로 확정된다. 해양수산부는 29일 한국이 지난 94년 유엔으로부터 광구개발권을 인정받은 태평양 심해저 ''C-C''(Clarion-Clipperton)해역 15만㎢중 경제성이 높은 7만5천㎢를 8월까지 단독개발광구로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엔해양법은 개발도상국들의 광구개발 참여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최초 등록광구의 절반을 연차적으로 반납하는 광구포기제도를 규정하고 있으며 한국은 이에 따라 경제성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97년 3만㎢, 99년 1만5천㎢를 포기한데 이어 오는 8월 마지막으로 3만㎢를 반납할 예정이다. 대상광구는 하와이에서 동남방으로 2천㎞ 떨어진 수심 4천800∼5천200m의 심해저로, 이곳에는 망간, 니켈, 구리, 코발트 등 금속자원이 함유된 망간단괴 4억2천만t이 분포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연간 300만t을 생산할 경우 100년 이상 채광할 수 있는 양으로 경제적 가치는 1천500억달러에 달한다. 해양부는 2015년으로 예정된 상업생산에 앞서 우선채광지역(2만㎢) 선정과 채산성 평가를 위한 정밀탐사작업을 내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하고 선진국에 비해 낙후된 채광, 제련 등 기초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홍승용(洪承湧) 해양수산부 차관은 "태평양에 단독광구를 확보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지난 80년대초에 시작된 뒤 20여년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게 됐다"면서 "망간, 구리, 니켈, 코발트 같은 전략금속자원을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매년 300만t씩을 채광할 경우 2조원 이상의 수입대체 및 수출효과가기대된다"면서 "상업생산에 앞서 민간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참여업체들에게 세제혜택 등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 선진국들은 이미 지난 80년대 중반부터 ''C-C''해역 내 우선개발구역 선정을 끝내고 상업생산시기를 엿보고 있으며 중국과 인도 등 후발참여국도 매년 막대한 사업비를 투입, 광구탐사에 나서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김선한 기자 shkim@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