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아프가니스탄 공습을 개시하면서 '보복테러'가 언제 어떻게 일어날지에 전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은 물론 아프간 공습을 지지하고 나선 각국은 보복테러에 대비,경계태세를 강화하고 나섰다. 미국의 아프간 공습이 시작된지 4시간 만인 8일 새벽 필리핀의 호텔 2곳에서 이슬람 반군에 의한 폭탄 공격이 자행됐다.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현지 경찰은 오사마 빈 라덴과 연계된 것으로 의심되는 필리핀의 아부 사이야프 이슬람 반군이 자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혀 보복테러의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세계 최대의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에서는 이날 과격이슬람단체 회원 1백여명이 자카르타 소재 미국 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여 인도네시아 정부가 장갑차 등을 배치하기도 했다. 그러나 보복테러는 빈 라덴이 이끄는 테러조직인 '알카에다'가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미 관리들은 빈 라덴이 미국의 공습을 예상한 데다 알카에다가 오랜 기간 테러를 준비,자행해 온 점을 들어 이번 공습으로 이미 기획됐던 테러의 시행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준비된 보복테러'의 유형을 선뜻 점치는 전문가들은 거의 없다. 상원 민주당 원내총무인 트렌드 로트 상원의원은 7일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지금 예측할 수 없는 그런 형태의 보복테러가 예상된다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납치 항공기를 폭탄으로 사용한 9월11일 참사때와는 다른 수법이 사용될 것이라는 것이다. 인구가 많은 대도시에 대한 화학무기나 생물무기 공격과 민간 항공기에 대한 스팅어 미사일 공격은 물론 테러분자들에 의한 핵폭탄 폭발가능성도 배제되지 않고 있다. 철로시스템에 대한 테러공격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볼티모어시의 마틴 오맬리 시장은 "화학물질을 실은 탱커와 군수품 화물차량의 왕래가 잦은 철로는 가장 취약한 부분의 하나"라고 지적했다. 보복테러의 가능성에 가장 발빠르게 대응하는 곳은 물론 미국이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7일 전국의 치안 당국에 대해 '최고도의 경계 상태'에 들어가도록 지시했다. 수도 워싱턴 경찰은 사전예방조치로 국무부 청사 앞 통행을 차단했으며 딕 체니 부통령은 전시체제중 대통령과 부통령의 신변 분리계획에 따라 모처로 이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안경비대는 미국 전역의 3백여개 항구에 대한 보안경비인력을 대폭 늘렸다. 주요 도시들도 비상경계 태세에 돌입했다. 뉴욕시는 사상 처음으로 최고 비상단계인 '오메가 상태'에 들어갔다고 ABC방송이 이날 전했다. 제2의 테러대상으로 우려돼 온 로스앤젤레스시 정부와 경찰도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 200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솔트 레이크시티 경찰은 경기장 등 주요 시설에 대한 보안을 강화했으며 보스턴 소재 매사추세츠주 의사당에는 3개 출입구를 제외한 모든 문이 폐쇄되고 출입구엔 금속탐지기와 X레이 투시기가 설치됐다. 미주리주 경찰도 주의사당 건물을 폐쇄했다. 이런 분위기 때문에 교회에 가거나 가족들과 함께 유원지 등을 찾았던 미국 국민들은 보복 공격 직후 대부분 곧바로 귀가,TV 등을 통해 전쟁상황을 지켜봤다. 미 전역의 군사시설은 지난달 11일 연쇄테러 이후 발동된 고도의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핵발전소와 생화학관련 시설은 안전상황을 재검검하고 경비수준을 한단계 높였다. 특히 미 국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반미(反美)감정이 악화돼 어떤 상황이 빚어질지 모른다"며 "전세계 미국인들은 안전에 극도의 신경을 써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따라 이집트를 비롯한 중동 각국의 미국 학교들이 일제히 휴교에 들어갔다. 미국과 함께 아프간 공습에 참가한 영국도 런던 시내에 경찰을 추가배치하는 등 치안을 강화하고 있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회원국들은 미국 등 동맹국 관련 시설물에 대해 경비를 강화했으며 프랑스는 가두 순찰 요원을 늘리고 높은 수준의 경계태세를 발동했다. 미국 지지를 천명한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도 7일 전국에 경계태세를 선포했다. 일본 경찰청은 8일 종합 경비 본부를 설치하고 도쿄 인근의 요코타 미군 기지와 미국 등 12개국 대사관에 대한 경비 인력을 4천명으로 증강했다. 이스라엘군도 고도의 비상경계 태세에 돌입했다. 워싱턴=고광철 특파원·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