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미국 대통령의 10월 방한을 앞두고 한국과 미국간 자동차 통상마찰이 재연될 조짐이다. 지난 8월 도널드 에번스 미국 상무장관이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에게 서한을 보내 '자동차 무역불균형에 대한 해결책'을 공식 요구해 온 것이 마찰 재연의 신호탄이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은 80년대 일본과의 자동차협상때 써먹었던 '미국산 자동차 수입 최저수량 보장'을 요구하거나 한국의 대미 자동차수출시 보복관세를 부과할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업계는 미국 정부가 부시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강공을 펼 가능성이 높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문제는 미국측 요구사항 가운데 만만한게 하나도 없다는 점이다. 미국이 주문하고 있는 수입차에 대한 인식 개선과 관련, 정부는 관용차를 수입차로 바꾸고 현대자동차로 하여금 미국산 차를 수입, 택시로 활용토록 하는 방안 등을 추진중이다. 정부는 이미 산자부 등 장관 의전용차를 지난해 외제차로 바꾼데 이어 내년과 2003년중 고속도로용 순찰차량을 외제차로 교체키로 했다. 그러나 미국측은 이 정도에 만족하지 않은채 추가적인 요구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는게 업계의 관측이다. 관세 인하 요구도 마찬가지다. 미국은 자국의 자동차 관세율이 평균 2.5%선임을 감안, 한국도 상응하는 수준으로 낮춰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관세율이 8%로 호주(15%)나 유럽연합(10%)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미국을 설득해 왔으나 "논리가 전혀 통하지 않는 상황"(통상교섭본부 관계자)이라는데 문제가 있다. "미국측에 다른 국가와 비교해 관세율을 설명하는 것은 의미가 없어졌다. 그들은 다만 자국산 차를 한국이 얼마나 사줄수 있는가에만 관심이 있다"(업계 관계자)는 것. 현행 배기량 중심 자동차세를 조정하는 문제는 세제 개편과 맞물려 있어 손대기 어려운 형편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은 국내 업계의 최대 자동차 시장인 만큼 최선의 접점을 찾아나가는 협상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