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지방에서 조성된 자금이 서울로 빠져나가는 역외유출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26일 `지역자금의 역외유출 현황과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보고서를 통해 지역자금의 역외유출 비율은 지난 97년에 30.3%였으나 외환위기 직후인 98년에 41.3%로 높아졌다가 지난 1월 현재 37.4%를 기록,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의 경우 지역자금의 역외유출 비율이 외환위기 이전인 97년에는 -9.9%로 지방경제의 자금유입 통로였으나 지난 1월에는 15.5%로 높아져 자금유출 통로로 반전됐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지난 97년의 경우 지역수신보다 1천194%나 많은 자금을 지방에 풀었으나 그 이후 대폭 축소돼 지난 1월 현재 433%의 자금이 들어오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대표적인 지역밀착형 금융기관인 상호신용금고, 신협, 새마을금고 등의 자금유출 비율은 97년에 17.9%에서 지난 1월에는 38.7%로 높아졌다. 외환위기 이후에는 기업금융 위주로 운영되는 종합금융사의 퇴출이 늘어나 지난 1월 현재 이들 기관을 통한 역외유출 비율이 97년의 -34.9%에서 51.2%로 급등해 지방기업의 자금줄로서의 역할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지역별 자금유출 비율은 대전이 54.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부산, 대구, 광주, 충북 등이 40%대로 뒤를 이었으며 전남, 인천, 경남은 20%대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상의는 외환위기 이후 지방소재 금융기관의 퇴출과 서울중심의 경제활동 구조, 지역 금융기관의 영세성, 지방기업의 신인도 취약 등의 요인 때문에 지방자금의 서울역류가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상의는 지역금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업은행 및 수출입은행의 지방소재 기업에 대한 대출 확대, 지역밀착형 금융기관의 정책자금 대출대행과 금융결제원 가입허용을 통한 전국적 전산망 이용, 지방 중소기업 전문 신용평가기관 설립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신현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