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출 확대를 위해 내놓은 대책의 뼈대는 중국과 중남미 중동 등 이른바 ''3중(中) 시장'' 공략을 강화해 미.일 시장에서의 부진을 만회하겠다는 것으로 모아진다.

미.일 양대시장에 의존해온 기존 수출 패턴으로는 이미 적신호가 켜진 수출전선의 흐름을 반전시키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중국과 중남미,중동 지역은 미국 일본 등 주류 경제권의 경기 침체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한국의 지역별 수출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을 보더라도 미국과 일본, 그리고 미.일 영향력이 큰 아세안(ASEAN) 국가들에 대해서는 감소세를 보인 반면 중동 중국 중남미는 최소 5% 이상 증가했다.

정부는 우선 ''3중 시장''에는 경제개발 계획을 추진하는 국가가 많은 만큼 플랜트(대규모 산업설비) 수주를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환율상승의 효과를 살려 기계류 수출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수출 비중이 10.7%로 일본에 버금가는 시장 규모를 갖춘 중국은 5개년 개발계획을 본격 추진하고 있어서 IT제품과 가전제품, 건설기계 등 기계류 수출이 유망하다는 분석이다.

중남미 시장은 자동차와 가전 등 내구소비재와 기계류, IT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다.

정부는 유럽 미국 일본 등 전통 시장에 대해서도 수출 유망 분야를 적극 발굴할 방침이지만 유럽은 광우병 및 구제역 파동 때문에 시장전망이 불투명하다.

미.일은 경기가 워낙 안좋아 획기적인 수출확대를 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센터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수출을 단기간에 진작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과 중남미 국가들이 수입규제의 고삐를 죄고 있어 수출 확대가 그리 간단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지난 2월말 현재 한국산 제품이 당한 수입규제 건수 1백11건 가운데 18건(16%)이 중남미 국가들로부터 당했을 정도로 이들 지역 국가의 ''한국 견제''는 만만치 않다.

더욱이 중국은 대한 교역불균형을 문제삼고 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