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책 총괄사령탑인 이헌재 재정경제부 장관과 통화정책 수장인 전철환 한국은행 총재간 신(新)경제 논란이 촉발됐다.

두 수장이 한국경제의 고성장-저물가 현상을 놓고 동상이몽(同床異夢)격인 해석을 내놓았기 때문.

전 총재는 28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국표준협회 주최 최고경영자 경영전략 세미나에서 "한국의 고성장-저물가 현상을 신경제 효과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전 총재는 "지난해 한국경제의 고성장-저물가 현상은 외환위기 직후 크게 절하됐던 환율이 절상되면서 수입단가가 떨어져 물가상승 압력을 상쇄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보통신 산업 비중이 확대되고 인터넷 사용이 확산되는 가운데 올해도 고성장-저물가가 지속되고 있지만 이같은 상황을 신경제라고 속단하긴 이르다"고 덧붙였다.

반면 이 장관은 지난달말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세미나에서 "최근의 빠른 경제성장세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안정돼 있는 것은 신경제적 요소에 따른 효과"라고 진단했다.

그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성장에 기여하고 있고 유통구조면에서도 변화가 일어나 미국식 신경제의 조짐이 보인다고 평가했다.

진단이 다름에 따라 처방도 엇갈리고 있다.

전 총재는 "향후 통화정책은 안정성장이 가능하도록 물가안정 기반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하반기중 콜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대목이다.

한국이 신경제 단계에 들어섰다면 경기 상승에 대응해 통화정책을 긴축기조로 전환활 필요가 없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반면 재경부는 물가가 안정돼 있는 현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금리인상 필요성은 없다는 입장이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