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가 6백50억달러를 넘어섰다는 보도가 있었다.

신문과 방송에서는 외환보유고가 늘어날 때마다 "실적"이라도 되는양
보도한다.

외환보유고는 대외결제수단으로서의 달러화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보통 3개월 정도의 결제액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학계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3백억~4백억달러를 적절한 규모로 보고 있다.

물론 외국과 장사를 한 이익의 결과 외환보유고가 그렇게 쌓여 간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보유고의 증가는 싱딩부분이 해외차입에 의한
경우가 많다.

때문에 지나친 외환보유고에 대해서는 결국 그만큼의 이자부담을 안게 된다.

즉 외환보유고의 양보다 질이 문제인 것이다.

어렵게 벌어들인 귀중한 달러를 이자로 내주게 되는 것이다.

가계나 기업도 마찬가지겠지만 남한테서 꾸어 오거나 또는 남의 나라에서
빌려다 외환보유고를 늘리는 것은, 상품을 만들어 내다 팔아 벌어 늘리기
보다 쉬운 일이다.

따라서 정부당국에선 외환보유고 늘리기에만 주력할게 아니라 금리 등
차입조건이 좋지 않은 외채 갚기에 초점를 맞추었으면 한다.

IMF 사태 이후 "외환보유고가 많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잘못된 인식이
우리 국민들에게 확산된 듯하다.

정부는 "외환보유고"에 대한 개념을 국민들에게 정확히 인식시키는 한편
무역수지 흑자를 통한 외환보유고 늘리기에 힘써야 할 것이다.

최영수 < 충북대 국제경영학과 4년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1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