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이 결정된 대우의 경영권은 누가 행사할 것인가.

정부와 채권단의 의중이 어떻느냐가 관건이긴 하지만 몇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해 볼수 있다.

먼저 김우중 회장을 비롯한 현 경영진에 전권을 줘 구조조정을 실시하고
성공후 경영권을 되돌려 받는 형식이다.

금융감독원을 비롯한 정부가 대우에 대한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하면서
염두에 뒀던 방식이다.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수 있으면서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 하나는 고합의 경우처럼 김우중 회장을 이사회 의장으로 임명해 중요
경영 안건 결정에 참여토록 하는 것이다.

워크아웃중인 고합의 장치혁 회장은 이사회 의장 자격으로 회사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물론 경영권은 워크아웃 이전과 비교해 제한적이다.

기존 최고경영자의 경영참여를 어느정도 보장해 그가 갖고 있는 노하우와
정보를 최대한 활용할수 있다.

마지막으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김우중 회장을 비롯한 현 경영진에 경영
전권을 주는 방식이다.

대우 구조조정 성공을 위해선 현행 경영진의 적극적 협조가 필요하다는
현실적 인식이 여기엔 깔려 있다.

이 가운데 어느 방식이 활용될지는 정부와 채권단의 손에 달려 있다.

워크아웃 결정으로 대우의 경영권은 사실상 채권단의 손으로 넘어간 셈이
됐기 때문이다.

김우중 회장의 행보도 중요변수이긴 하지만 김 회장은 25일 정.재계회의에서
마음을 비웠다는 말로 경영권에 미련이 없다는 심경을 내비쳤다.

대우 구조조정에 대한 정부와 채권단의 최대 관심사는 국민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대우를 조기에 정상화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대우 구조조정을 위해선 김우중 회장의 도움이 절대적이다.

김 회장이 뛰어야만 대우가 밝힌 주요 계열사 매각이나 외자 도입 계획
등이 좀더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정부와 채권단의 힘만으로 대우 문제 풀기에는 아무래도 역부족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때 김 회장을 이사회 의장으로 임명해 구조조정에 참여
시키는 고합안이나, 현 경영진에 경영권을 행사하게 하고 구조조정 성공후
채권단이 회수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김대중 대통령은 정/재계 간담회에서 김우중 회장에게 "책임
지고 구조조정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당부해 주목되고 있다.

< 강현철 기자 hck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8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