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들은 지방화시대에 대비,거점전략과 전지역전략을 혼합해 동시에
구사해야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거점전략이란 특정지역에서 기반을 다진뒤 다른 지역으로 사업영역을
넓혀가는 방식이며 전지역전략은 경쟁력있는 특정 공종이나 분야를 중심으로
모든 지역을 동시에 공략하는 방법이다.

특히 그룹사등 대형건설업체들은 정부가 L자형 국토개발및 민자사업을
추진하고있어 서해안과 남해안의 저개발지역을 거점지역으로 개발해야될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현대(율촌공단개발) 대우(군장공단개발)등 주요그룹들은 이들지역
을 거점화하고있는 상태이다.

이같은 내용은 최근 한국건설업체연합회의 연구의뢰를 받아 천상만대우경제
연구소 연구위원이 분석한 "지방화시대의 건설업 경영전략"에서 지적됐다.

이 논문에 따르면 건설업체들은 우선 공공발주공사와 대형 민간발주공사를
중심으로 한 수주형공사에는 전지역전략을 사용,시장확대를 추진해야한다는
분석이다.

이는 대형건설업체의 경우 20억원 미만공사는 지역제한제가 적용받고있어
20억원이상의 공공공사와 민간대형공사가 각 지역에서의 주요 수주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97년부터 1백60억원이상의 지자체발주 대형공사는 외국업체에게도 개방될
예정이어서 이들 업체와의 경쟁을 예상할때 특화된 공종위주로 모든 지역
에서의 연고권확보가 필수적인 것도 그 이유이다.

수주공사가 아닌 개발형사업은 거점전략으로 지명도를 높여가는 방식이
유리하다는 지역이다.

이는 개발형사업의 경우 투자회수기간이 길어 위험부담이 큰것은 물론이고
사업인허가 관계,지역인사와의 유대관계,분양및 임대가능성등 사업성공에
걸림돌이 되는 사안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 민간부문은 경제력이 수도권에 비해 약해 대규모 민간공사
수주가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개발형사업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라고 천연구위원을 밝혔다.

진출지역으로는 서울및 경기도,5개 광역시가 우선적으로 꼽히고있다.

지역선정은 아파트로 예상되는 건설경기가 기준이 되는데 이들 지역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한 지속적으로 건설공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있기 때문
이다.

반면 지방중소도시 진출은 지역기반을 먼저 다진다는 잇점도 있으나
수주형 공사가 아닌 개발형사업에 치중해야한다는 위험이 있다.

또 중소도시에서는 분양및 임대를 통한 투자회수가 불투명한 점도 위험
요소로 자리잡고있다.

이에따라 이들 중소도시지역에 진출할 경우 초장기에는 사업규모를 확대
하기보다는 적정규모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반해 수도권지역에서는 정부의 수도권규제완화정책을 감안할때 사업을
확대하고 특히 공장이전부지를 확보한뒤 택지및 상업지로 전환,개발형사업을
추진하는 방안도 유력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진출유형으로는 본사를 사업을 중점적으로 벌이는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등 5가지가 제시됐다.

본사의 지방이전은 경쟁이 치열한 서울보다 지방에서의 공사수주를 겨냥한
방법이다.

실제로 중소규모의 서울소재업체가 지방으로 이전하고있는 것은 이와 맥을
같이하고있다.

또 지역에 법인을 신설하는 방법과 기존의 지역업체를 인수하는 방법은
최근 대형건설업체들이 주로 사용하는 전략이다.

이밖에 지역업체와의 유대를 강화해 공동도급을 활성화하는 방안,지사조직
을 활용해 서울본사의 지원체제를 구축하는 방안등이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