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제로금리 딜레마…금리인상 예고에 '고용쇼크' 부메랑
미국의 ‘9월 고용쇼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공언해온 미국 중앙은행(Fed)을 딜레마에 빠뜨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의 9월 신규 일자리가 14만2000개로 예상치(20만3000개)에 훨씬 못 미치면서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하려는 Fed가 딜레마에 빠졌다고 4일 전했다. 신문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가 9월 고용 부진의 원인을 글로벌 성장률 둔화와 금융시장 혼란 탓으로 돌렸지만, 이는 Fed의 금리 인상 방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Fed의 양적 완화 정책으로 세계에 풀린 달러가 미국으로 다시 몰리고, 달러화 강세가 세계 상품시장을 공포로 몰고 가면서 미국 경제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미국 석유·가스산업의 타격과 수출 감소, 고용 증가세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Fed의 금리 정상화 방침이 미국 경제를 옥죄는 부메랑이 되면서 금리를 올리지도, 내리지도 못하는 딜레마에 빠졌다는 설명이다.

WSJ는 Fed의 제로금리정책이 자산가격만 높이면서 투자를 왜곡시켰다며 금리를 올리든, 올리지 못하든 통화정책의 한계가 조만간 분명히 드러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러스 코에스테리흐 블랙록 글로벌 수석투자전략가는 뉴욕타임스에 “9월 고용지표 내용 중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며 “오히려 이들 고용지표는 미국의 경제 회복이 정말 강력한 것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내 금리인상 확률 45%서 30%로 추락

재닛 옐런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지난달 24일 연내 금리 인상 방침을 확인한 지 불과 1주일 만에 고용지표가 추락하면서 Fed의 긴축 예고가 미국 경제를 흔드는 역풍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2일 노동부가 발표한 9월 고용 동향을 보면 연내 금리 인상의 불확실성은 물론 그동안 추진해온 통화정책의 실효성에까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달 신규 일자리 중 14만2000개는 고용시장 회복세를 나타내는 기준인 20만개의 71%에 불과하다. 지난달 17만3000개라고 발표한 8월 신규 일자리는 13만6000개로 대폭 하향 조정됐으며, 7월 조정분까지 합치면 당초 발표보다 5만9000개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

실업률은 전달에 이어 5.1%를 기록해 완전고용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노동시장 참가율이 62.4%로, 1977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결과였다. 실업자가 구직활동을 단념하면서 아예 실업률 통계 작성에서 제외된 착시현상이다. 옐런 의장이 노동시장의 질적 개선 정도를 가늠할 때 눈여겨보는 시간당 임금상승률은 0%에 그쳤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함께 나온 8월 공장주문이 -1.7%로, 지난해 12월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하는 등 불안한 미국 제조업 경기가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미국 지역연방은행 중 실시간 경제성장률을 가장 정확히 예측해온 애틀랜타연방은행은 3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에도 못 미치는 0.9%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8월 미국 상품수지 적자가 671억달러로 전달보다 80억달러 늘어나면서 순수출의 성장률 기여도가 크게 하락한 데 따른 것이라고 연방은행은 설명했다. 마켓워치는 이에 대해 미국 수출업체가 달러화 강세와 신흥국 성장 둔화의 역풍을 맞고 있다고 지적했다.

Fed가 긴축을 예고한 것만으로 미국 경제가 흔들리면서 월가 투자자들은 연내 금리 인상이 희박해졌다고 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따르면 미국 연방기금의 금리선물 가격을 토대로 한 10월 인상 확률은 고용시장 발표 직전인 1일 16%에서 발표 뒤인 2일 5%로 급락했다. 올해 마지막으로 열리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올릴 것이란 전망은 45%에서 30%로 추락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