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날 발표한 지역주민 지원 대책의 핵심은 소액 보상자들에게 영세민 전용 아파트를 지어 거의 무료로 임대해 주겠다는 것이다. 예정 지역 원주민은 모두 3762세대로 이 중 1억원 이상의 보상을 받은 세대는 2757세대,1억원 미만의 소액 보상을 받은 세대는 1005세대다.

정부는 현재 충남도 · 연기군 · 공주시의 공유지 보상금을 활용,예정 지역에서 이주한 영세민 행복아파트(40~66㎡) 500세대를 건립 중인데 사업기간을 단축해 2011년까지 입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 국가재정으로 500세대를 2011년 말까지 추가로 건립,소액 보상을 받은 원주민 1000세대를 모두 수용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토지주택공사(LH)가 자체 비용으로 건설 중인 노약자용 경로복지관(100세대 · 사업비 100억원) 외에 정부 재정으로 100세대를 추가로 2011년 말까지 건립해 독거노인 대부분을 수용키로 했다.

정부는 예정 지역 이주민 및 자녀들의 100% 취업을 목표로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세종시 건설청에 '이주민 취업센터'를 설치,맞춤형 취업 알선을 해주기로 했다. 주민이 원할 경우 2012년까지 100%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한다.

아울러 예정 지역 주민의 재정착 지원을 위해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주민생계조합을 통한 소득 창출 사업 위탁사업도 확대키로 했다. 정부는 국가 재정 지원을 받는 기관은 최우선적으로 의무 고용토록 하고,원주민을 고용하는 민간 기업에는 고용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다. 삼성에서 짓는 콜센터의 경우 현지인을 대거 채용할 것으로 보인다.

자금 부족으로 이주자를 위한 택지를 구입하지 못한 원주민을 위해서는 LH에서 금융회사 담보대출이 가능하도록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세종시 발전 방안을 만들면서 지역주민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포괄적인 주민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