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냥갑처럼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아파트나 단독주택,오피스빌딩 등 국내 건축물에 이른바 '품격'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차원의 중장기 계획이 내년부터 시행된다.

국토해양부는 국가 건축정책의 뼈대를 제시하는 최상위 계획인 '건축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이를 위해 이날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청회를 열어 건축 · 도시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국토부는 이날 제시된 의견 등을 토대로 기본계획안을 보완한 뒤 국가건축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내년부터 시행할 방침이다.

이날 공개된 1차 계획안(2010~2014년)은 쾌적하고 아름다운 건축 · 도시환경을 조성해 새로운 국가이미지를 구축하고 독신가구 증가,고령화 등 사회적인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국토환경 디자인 강화 △도시 · 건축 디자인 수준 향상 △녹색건축 · 도시 구현 △건축 · 도시산업 고도화 △고유 건축문화 창달 △건축문화 역량 강화 및 글로벌화 등을 핵심 추진전략으로 제시했다.

이 계획이 실행되면 신도시 등 주거단지나 산업 · 관광단지,도로 · 철도 · 항만 등에 이른바 '통합 건축디자인'을 도입하고 우수 디자인을 제시한 설계자에게는 수의계약 등 각종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다.

광화문~한강 구간에 조성되는 '국가 상징거리'를 시범 선도사업으로 추진해 '장소 중심'의 통합디자인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보금자리주택 등에 맞춤형 평면과 외관디자인을 적용하고 '지역 건축센터'를 구축해 단독 · 다세대 · 다가구주택 미관개선을 지원할 예정이다.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그린홈' 공급을 늘리고 녹색기술과 정보기술(IT)을 접목시켜 첨단 녹색도시(U-Eco City)를 조성한다는 구상도 포함됐다.

우리의 전통 '한옥'을 널리 보급하기 위한 한옥마을 시범사업,'한스타일' 아파트 공급확대 등 한옥 현대화 · 산업화도 추진키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한국전쟁,급속한 경제성장 등에 따라 공급 확대에만 급급하다 보니 획일적인 건축물과 단조로운 도시환경이 양산됐다"며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국가 이미지 구축과 창조적인 건축문화 발전을 위한 첫걸음"이라고 설명했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