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가 7일 내놓은 'KTX 경제권 개발 추진계획'은 고속철도(KTX) 역세권을 지역 경제의 심장부로 삼겠다는 구상을 담고 있다. 전국을 '하나의 도시'로 만들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2004년 KTX 개통 이후 수도권 집중 현상이 되레 심해지는 이른바 '빨대효과'를 차단하겠다는 포석도 깔려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역세권별 개발 방안이 확정될 내년 상반기를 전후로 KTX 역세권 주변 부동산 시장의 상당한 변화도 예상된다.

우선 KTX 역사 주변은 크게 3개 구역으로 나눠 개발된다. KTX가 정차하는 역사(驛舍)부지는 고밀 개발을 통해 백화점,컨벤션센터 등 중심상업 · 업무기능을 담당하는 랜드마크 복합단지로 탈바꿈한다. KTX역에서 걸어서 5분,반경 500m 이내인 1차 역세권에는 업무 · 판매 · 문화시설과 복합환승센터 등이 들어선다. 이어 반경 3㎞ 이내의 2차 역세권에는 배후 주거단지와 상업시설,도시 내 첨단산업시설 등을 배치해 연계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역세권의 입지 등에 따라 △대전 · 동대구 · 부산 · 광주 등은 기존 도시형 △광명 · 오송 · 김천역 등은 신시가지형으로 나눠 차별화된 개발 전략과 기법이 적용된다. 필요할 경우 'KTX 역세권 개발 촉진 특별법(가칭)'도 제정할 계획이다.

역세권 개발 방향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지난해 9월 발표한 지역 선도사업과 연계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충청권은 의약 · 바이오,반도체,디스플레이 △대구 · 경북권은 에너지,이동통신 △동남권(부산 · 경남일대)은 수송기계,부품 · 소재 △호남권은 신재생에너지,광(光)소재 △수도권은 금융 · 비즈니스,물류산업 등과 연계해 역세권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개발 우선 순위는 고속철도망 확충에 맞춰 단계적으로 추진하되,수도권보다는 지방 대도시가 우선 개발될 예정이다. 따라서 현재 고속철도가 운행 중인 경부선 1단계 구간의 대전역과 동대구역 등이 최우선 개발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역은 주변 88만4000㎡가 지난 4월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됐다. 동대구역은 올해 말까지 개발계획 수립이 완료될 전망이다. 부산 광주 등은 경부선 2단계(2010년)와 호남선(오송~목포 · 2017년) 개통을 전후로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간선 철도망 체계도 '고속철도 중심'으로 개편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KTX역 주변이 철도,지하철,버스,경전철 등이 연결되는 대중교통중심도시(TOD)로 변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내년 말까지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과 복합환승센터 기본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오는 8월까지 개발 방향과 추진 계획 등을 담은 기본 구상을 마련한 뒤 내년 상반기까지 단계별 · 권역별 · 과제별 세부 개발 계획을 담은 'KTX경제권 종합발전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라며 "개발 안은 지자체가 주도해 마련하되 정부는 중복되는 기능을 줄이는 등 지원자,조정자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