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써 외면하는 추미애 > 더불어민주당의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16일 선출된 우원식 의원이 이재명 대표에게 꽃다발을 받으며 웃고 있다. 경쟁에서 밀린 추미애 당선인은 다른 곳을 응시하고 있다.  /뉴스1
< 애써 외면하는 추미애 > 더불어민주당의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16일 선출된 우원식 의원이 이재명 대표에게 꽃다발을 받으며 웃고 있다. 경쟁에서 밀린 추미애 당선인은 다른 곳을 응시하고 있다. /뉴스1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추미애 당선인을 꺾고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되자 당 안팎에선 ‘강성 일변도’를 외친 추 당선인에 대한 비토 정서가 이변을 만들었다는 해석이 나왔다. ‘이재명 일극 체제’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하지만 우 의원도 추 당선인에 비해 온건하다는 평가를 받을 뿐 강성 친명계(친이재명계)로 분류된다. 후보 출마 일성으로 “국회법이 규정한 중립의 협소함을 넘어서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당선 인사에서도 우 의원은 “중립은 몰가치가 아니다”며 탈중립을 선언했다. 거대 야당의 입법 독주를 제어하는 역할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秋보다는 온건하지만…

1957년생인 우 의원은 연세대 재학 시절인 1981년 전두환 대통령 퇴진 운동을 벌이다 투옥됐다. 재야에서 인연을 맺은 이해찬·임채정 전 의원 등과 평화민주당에 입당하면서 정치에 입문했다. 고(故) 김근태 전 상임고문 계파인 재야 운동권 모임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에 몸담았다.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서울 노원을에서 첫 배지를 단 뒤 18대에선 낙선했지만 19~22대까지 내리 당선되며 5선째를 맞는다. 김근태계로 분류되지만, 국회의장 후보 경선을 앞두고 자신이 ‘찐명’임을 강조해왔다.

우 의원은 강성에 가까운 행보를 보여왔다. 당내에서 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지난 대선 때는 이재명 대표를 전방위적으로 지원했다. 기본소득 등 이 대표가 내세운 ‘기본시리즈’ 공약을 지원하는 기본사회위원회 부위원장도 맡고 있다. 국회의장 후보들이 한참 ‘명심(이 대표 마음) 마케팅’을 벌일 때 “이 대표가 나에게 ‘형님이 적격이죠’라고 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후보 선거를 앞두고는 “검찰개혁 시즌3를 추진하는 책임 의장이 되겠다”고 밝혔다.

○거수기 국회 불 보듯

강성 노선을 밟아온 우 의원이 국회의장 자리에 오르면서 거대 야당의 입법 폭주가 더욱 속도를 낼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우 의원은 이날 당선 후 기자들을 만나 “옳고 그름의 판단과 민심이 우선”이라면서도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재의요구권) 남용은 입법권을 침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회의장으로서 안 되는 일”이라고 했다.

민주당 등 야권은 22대 국회가 개원하면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9개 법안을 재발의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국회의장은 본회의 개의와 법률안 ‘직권상정’ 등 막강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의장의 협조가 있으면 민주당이 발의한 각종 특검법과 여당이 반대하는 법안의 본회의 통과가 한층 수월해진다.

이날 우 의원은 개헌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권력구조 개편 문제, 입법부 삼권분립을 분명히 하는 문제들을 개헌안에 당연히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명심’ 꺾자 당황한 민주당

우 의원이 당선되자 추 당선인을 밀었던 당원들은 당황한 분위기다. 이날 개표 현장에서 결과가 발표되자 잠깐의 정적이 흘렀고, 일부 의원은 놀란 채 서로를 쳐다보기도 했다. 정성호·조정식 의원이 불출마하는 등 교통정리가 이뤄지자 당내에서 ‘이재명 일극체제’에 대한 반감이 나온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당원이 주인인 정당, 아직도 갈 길이 멉니다. 상처받은 당원과 지지자들께 미안합니다”라고 썼다. 이날 민주당 당원 게시판에는 “우원식을 지지한 수박(비이재명계의 멸칭)들 나가라”며 강성 당원들의 성토가 이어졌다.

이 대표는 선거 결과에 대해 “이게 당심 아니겠냐”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당 대표실을 찾은 우 의원에게 “기계적 중립이 아니라 민심에 중심을 두고 국회를 운영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종우/정상원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