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부모의 경제력에 따른 자녀의 성적 차이가 최근 10년간 심화했다.

김성식 서울교대 교수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부모의 배경이 학력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해소 방안' 토론회에서 "2020년 교육 분야 양극화 지수를 분석한 결과 2010년보다 양극화가 심해졌다"고 했다.

교육 분야 양극화 지수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와 가장 높은 5분위 집단의 격차를 보여주는 지표다. 2010년 지수를 100으로 잡고 지수가 100보다 커지면 양극화가 심화한 것이다. 고2 학생 자녀의 학업 성취도를 분석해 산출한 2020년 교육 분야 양극화 지수는 177.7이다. 10년간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자녀의 학업 성취도가 더욱 벌어졌다는 의미다.

가구 소득에 따른 학업 성취도 차이는 초등학교 때도 나타나지만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더욱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들어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자녀의 학업 성취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교수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다양한 방식으로 자녀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부모의 경제력이 사교육을 통해 자녀에게 학교 밖의 추가적인 교육 기회를 증대시키며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부모의 경제력 결정 과정에서 형성된 부모 자신의 교육 경험이 자녀의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부모 경제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좌우되는 사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EBS 방송 활용도를 높이고 방과후학교를 내실화하는 등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아울러 "부모 경제력 영향이 학교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개혁하기 위해 모든 학생의 실질적 학습 기회와 참여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을 개혁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