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폐암 면역항암제가 어떤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지 예측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를 개발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이세훈·박세훈 혈액종양내과 교수, 최윤라 병리과 교수, 김효진 분당서울대병원 병리과 교수, 옥찬영 루닛 최고의학책임자(CMO) 연구팀이 종양침윤성림프구(TIL)를 활용해 미국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의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TIL은 암 조직을 공격하는 면역세포다. 항암 치료의 성패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학계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TIL이 암 조직 안에 얼마나 존재하는지 일일이 살펴보기 어려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바이오마커로 쓰이지 못했다.

연구팀은 루닛의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TIL이 암 조직에 얼마나 분포돼 있는지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 이를 바탕으로 환자 518명을 TIL의 밀도·분포에 따라 ‘활성’ ‘제외’ ‘결핍’ 등 세 그룹으로 나눈 뒤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활성 그룹은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이 24.8개월로 제외(14개월), 결핍(10.6개월) 그룹보다 길었다. 무진행 생존 기간도 활성 그룹이 4.1개월로 가장 길었다.

이 교수는 “새 바이오마커를 보조수단으로 삼는다면 더 많은 환자가 보다 나은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고, 자칫 소외될 수 있는 환자에게도 치료 기회가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세계적 암 관련 학술지인 임상종양학회지에 실렸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