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의 허리를 이루는 30~40대 연령층의 취업자가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감소율을 보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기에는 경제 위기와 그에 따른 업계의 구조조정 움직임, 상대적으로 20대와 50대 이상 연령층에 쏠리게 된 정부의 일자리 대책이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런 상황은 30대 여성이 경기 침체에 따른 취업난의 최대 피해자로 떠오른 점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3040만 악화일로..30대女 취업자 감소폭 최악
2분기 고용동향에서 드러난 뚜렷한 변화는 연령대별 취업자 증감이 꼽힌다.

고질적인 청년 실업이 호전 조짐을 보였고 50대에서는 플러스를 유지했으며 60대에서는 증가율이 상승한 반면 30~40대만 취업자 증감률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작년 2분기 이후 감소율이 가파른 하강 곡선을 그렸던 20대는 1분기에 전년동기대비 -4.5%를 바닥으로 2분기에 -1.8%로 감소세가 크게 둔화됐다.

정부가 지난해 말부터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던 청년인턴제도와 초봉삭감을 통한 채용 확대 등의 결과로 해석된다.

60대의 취업자 증가율은 1분기 1.0%에서 2분기 1.8%로 오히려 높아졌다.

50대도 4.7%에서 3.6%로 둔화되기는 했지만 연령대 가운데 최고 증가율을 보였다.

6월부터 시행된 25만명 규모의 희망근로프로젝트의 효과라는 설명이 가능하다.

반면 30~40대 취업자 숫자는 악화일로다.

30대는 2분기에 -3.5%로 1999년 1분기의 -3.8% 이후 가장 나빴다.

작년 3분기에 -0.6%로 마이너스로 전환된 뒤 4분기 -1.5%, 올 1분기 -2.7% 등에 이어 곤두박질한 것이다.

2분기 감소인원은 -21만3천명으로 전체 감소폭인 -13만4천명을 크게 웃돌았다.

50~60대에서 증가한 인원(20만5천명)을 30대에서 상쇄하고 남을 정도였다.

40대는 -0.4%(-2만7천명)로 1998년 4분기(-2.1%) 이후 분기 기준으로는 처음 마이너스의 늪에 빠졌다.

성별로 보면 여성 취업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여성 취업자 숫자는 올 1분기 -1.3%에서 2분기 -1.6%로 감소율이 커진 반면 남성의 경우 지난 1분기(-0.2%)에 10년만에 잠깐 마이너스로 미끄러졌다가 2분기(0.2%)에 플러스로 올라선 것이다.

결과적으로 연령대와 성별의 공통분모는 30대 여성이 됐다.

2분기 30대 여성의 취업자 증가율은 -6.4%(-14만4천명)로 30대 남성이 -1.8%(-6만9천명)에 그친 것과 비교가 되지 않았다.

취업자 감소폭은 남성의 갑절이 넘었다.

◇ 경기침체에 정책 쏠림 탓..정부 개선안 마련
이런 상황은 우선 경제 위기에 따라 인력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본격적인 구조조정이 진행되지는 않고 있지만 공공기관이 정원 감축 작업에 들어가고 경영환경 악화로 고용을 줄이는 기업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제도적으로는 비정규직 보호법의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경기 침체와 구조조정, 제도적 한계는 상대적 고용 취약계층인 30대 여성 취업자의 급감으로 이어진 것이라는 설명이다.

2분기 자영업주 숫자가 578만7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0만명 가까이 감소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청년층과 50대 이상에 쏠린 일자리 대책에서 원인을 찾는 분석도 많다.

직접 고용 대책을 보면 청년층의 경우 8만명이 넘는다.

중소기업 청년인턴 사업이 3만2천명, 대학조교 채용 확대가 7천명, 인턴교사 2만6천명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공공기관 인턴도 2만5천명 안팎이나 된다.

지난달 시작된 희망근로프로젝트 참여자 25만명 중에도 60대 32.7%, 50대 24.5%, 40대 17.1%, 70대 13.6% 등 50대 이상이 70%를 넘는다.

전문가들도 30~40대 취업자의 상대적 감소에 대해 경제 위기와 정부의 일자리대책에 따른 복합적인 현상으로 봤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만든 일자리의 많은 부분이 50대 이상과 청년층이며, 경기침체로 기업에 들어가는 사람보다 나오는 사람이 많은 상황에서 주로 나오는 연령층은 30~40대"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지난 5월 일자리대책평가단을 구성, 청년인턴, 사회서비스, 희망근로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중점 점검을 벌인 뒤 개선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여성 등 취업취약계층을 위해 단시간 근로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정준영 기자 satw@yna.co.krprin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