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시내 버스에 부착된 교통카드 단말기가 먹통이 돼 지난해 7월 대중교통체계 개편 당시 한바탕 `홍역'을 치렀던 혼란이 되풀이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지난해 7월에는 교통카드 단말기가 작동이 안됐을 뿐만 아니라 엉뚱한 추가 요금까지 부과하는 바람에 승객들에게 불편함은 물론이고 물질적인 피해까지 안겨줬었다. 이날 재연된 장애에 대해 서울시측은 신용카드 회사들로부터 후불제 카드(신용카드) 이용자들의 정보를 내려받는 과정에서 용량을 처리하지 못해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시에 따르면 시내버스는 운행을 마치고 차고지로 들어오면 버스에 부착된 카드단말기가 자동으로 신용카드사들로부터 개인들의 신용에 관한 정보를 무선으로 내려받는다. 신용카드사들이 내려보내는 데이터는 신용카드를 이용할 수 없는 `블랙 리스트(Black List)'와 신용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포지티브 리스트(Positive List)' 두 종류로 포지티브 리스트의 경우 데이터 용량이 크다. 이날 발생한 장애는 특정 신용카드사가 내려보낸 포지티브 리스트의 용량이 지나치게 커서 시스템이 이를 담아내지 못해 다운돼 일어났다는 것이 서울시측의 해명이다. 시 관계자는 "운행 중인 버스가 차고지로 돌아오면 불필요한 데이터 파일을 제거하고 필요한 데이터만 다운받으면 문제는 해결된다"며 "장애 원인이 정확하게 파악됐기 때문에 오전 중으로 복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지난해의 경우 교통카드 단말기가 오작동을 일으킨 것은 시스템 자체가 불완전했고 운전기사들이 단말기 조작 방법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시민들도 하차단말기에 카드를 대지 않는 등 복합적인 원인이 얽혀 발생했다. 이와 달리 이날 장애는 단순한 과부하 탓이어서 작년과 같은 대형 사고로 확산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그러나 단순한 과부하라고 하더라도 시스템이 데이터를 수용하지 못해 다운됐다면 시스템의 처리 용량에 문제가 있거나 불안정하다는 것이고 해킹 공격 등에도 취약하다는 점을 드러낸 것이다. 지난해에도 교통카드 단말기 장애가 발생했을 때 서울시는 처음에는 단순한 과부하로 조기 복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했지만 결국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됐던 것을 기억하는 시민들은 이날 장애로 인해 교통카드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떨칠 수 없게 됐다. 김 모(42.회사원)씨는 "출근길에 교통카드가 안된다고 해서 현금을 냈다"며 "교통카드 시스템이 바뀐지 6개월이 지났는데도 아직까지 이런 장애가 발생하는 것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창욱 기자 pc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