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가 23일 처음 공개한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EV3.  /기아 제공
기아가 23일 처음 공개한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EV3. /기아 제공
기아가 3000만원대 중반(보조금을 감안한 실구매가 기준)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EV3를 23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 중형 위주이던 차급을 소형으로 넓힌 것이다. 저렴한 가격에도 한 번 충전으로 500㎞를 갈 수 있는 고성능 삼원계(NCM) 배터리와 생성형 인공지능(AI) 등 고급 기능이 적용됐다는 점에서 내연기관차, 하이브리드카 수요를 상당폭 빨아들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기차 ‘얼리 머저리티’ 잡는다

기아, 전기차 대중화 연다…3000만원대 EV3 공개
기아는 이날 영상을 통해 더 기아 EV3를 전 세계에 공개했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만든 기아의 세 번째 전기차 전용 모델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EV3는 기아의 차별화된 상품성을 더 많은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콤팩트 SUV EV인 만큼 전기차 대중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는 EV3가 작년 말부터 불고 있는 전기차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정체)을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 사장은 “올 1분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는 212만 대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며 “EV3는 ‘얼리 머저리티’(early majority·보통 사람보다 약간 먼저 신제품을 수용하는 사람)층을 공략하는 첫 차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 세계에서 팔리는 신차 가운데 전기차 비중은 1분기 기준 11% 수준이다. 시장에선 통상 신제품 판매 비중이 10%를 넘으면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파악한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앞다퉈 3000만원대 중저가 전기차를 내놓는 이유다. 테슬라도 가격을 확 낮춘 보급형 전기차 모델2를 조만간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20만 대 판매 목표

EV3 크기는 전장 4300㎜, 전폭 1850㎜, 전고 1560㎜로 폭스바겐 ID.3, BYD 위안 업과 비슷하다. EV3는 81.4㎾h 배터리를 장착한 롱레인지 모델과 58.3㎾h 배터리를 탑재한 스탠더드 모델로 나뉜다.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보다 성능이 좋은 대신 값이 비싼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적용했다. 롱레인지 모델은 한 번 충전으로 501㎞를 주행할 수 있다. 350㎾급 충전기로 31분 만에 10%에서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전륜에 적용한 모터는 최고 출력 150㎾, 최대 토크 283Nm를 발휘한다. EV3에는 전기차 최초로 생성 AI 기술을 접목한 기아 AI 어시스턴트가 적용됐다. AI 어시스턴트는 자연어를 기반으로 여행, 차량 이용, 엔터테인먼트, 지식 검색 등을 지원한다. EV9에서 선보인 12.3인치 디스플레이도 장착됐다.

판매 가격은 확정되지 않았다. 송 사장은 “출고 가격을 3만5000~5만달러(약 4700만~6800만원)에서 맞출 것”이라며 “보조금을 고려한 국내 가격은 3000만원대 중반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기준으로 보조금은 최대 840만원, 개별소비세 면제 혜택은 최대 300만원이다.

폭스바겐 ID.3 가격이 독일 기준 3만9995유로(약 5900만원)인 만큼 해외에서도 먹힐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ID.3의 항속거리는 435~559㎞다. BYD가 올해 출시한 위안 업은 시작 가격이 9만6800위안(약 1800만원)으로 훨씬 저렴하지만 항속거리는 301~401㎞에 그친다. 기아는 EV3 판매 목표를 연 20만 대로 정하고 이 중 3만 대가량을 국내에서 파는 걸로 잡았다. 국내 판매는 오는 7월, 유럽은 4분기, 미국 등 나머지 시장엔 내년부터 투입한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