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시세
매매가 전국 0.27%→0.25%, 서울 0.09%→0.08%
서울 전셋값도 4주째 오름폭 축소
매매가 전국 0.27%→0.25%, 서울 0.09%→0.08%
서울 전셋값도 4주째 오름폭 축소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아파트 주변 부동산 모습. /연합뉴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월 셋째주(1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86주째 오름세가 이어졌지만 상승폭은 2월 둘째주 0.09%에 이어 2주 연속 감소했다. 부동산원은 “정비사업 호재가 있는 단지들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2·4 공급대책 발표 후 매수문의 감소와 관망세가 나타나고 있다”며 “명절 연휴 등도 매수세 위축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특히 강남권의 상승세가 눈에 띄게 둔화했다. 서초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이달 둘째주 0.11%에서 이번주 0.08%로 줄었다. 강남구와 송파구도 같은 기간 0.12%, 0.14%에서 각각 0.09%와 0.10%로 낮아졌다. 강동구 역시 0.08%에서 0.06%로 내려갔다.

서울 노원구 아파트 단지 전경. /뉴스1
수도권은 부동산원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상승률(0.33%)을 3주 연속으로 이어가다가 지난주 0.30%로 약간 주춤했다. 경기도는 0.46%에서 0.42%로, 인천은 0.37%에서 0.34%로 각각 상승폭이 감소했다. 경기에서는 의왕시(1.05%)의 상승 폭이 가장 컸으며 안산시(0.83%), 양주시·남양주시·동두천시(0.82%), 의정부시(0.81%) 등이 뒤를 이었다.
지방도 지난주 0.22%에서 0.20%로 아파트값 오름폭이 둔화했다. 5대 광역시(대전·대구·광주·부산·울산)는 0.29%에서 0.27%, 세종은 0.17%에서 0.16%로 전주 대비 상승세가 위축됐다.

서울 전셋값은 1월 셋째주(0.13%)부터 4주 연속으로 오름폭을 축소하며 2월 셋째주 상승률이 0.08%에 이르렀다. 다만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저렴한 강북이나 외곽지역은 강세를 이어갔다. 서울 자치구 중 성북구(0.14%)가 많이 올랐으며 성동구·중랑구(0.13%), 노원구·은평구(0.12%), 관악구(0.10%) 등도 상승했다.
부동산원 측은 "서울은 학군과 역세권을 바탕으로 입지가 양호하거나 정비사업에 따른 이주 수요가 있는 지역 위주로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하고 있다"면서도 "설 연휴와 새 임대차법에 따른 이사 수요 감소로 상승폭은 축소하는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