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의 최대 ‘뉴스 메이커’를 꼽는다면 김동연 경기지사 당선인일 것이다. 주민 1357만 명에 올해 예산이 33조5661억원으로 서울 다음으로 많은 전국 최대 지자체 수장이라는 이유만이 아니다. 새 정부 출범 한 달도 안 된 시점의 전국선거에서 호남·제주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살아남은 야당 광역단체장이라는 사실에 정치적 스포트라이트를 더 받고 있다.

정권을 오가며 승승장구 잘나갔던 ‘옥골선풍 관료’ 출신이 거칠고 냉정한 정치판에 뛰어들어 한때 방향성을 잃고 우왕좌왕하던 모습에 비춰볼 때 그의 생환에는 극적 요소도 적지 않다. 두 차례 선거에서 연패 이후 리더십을 잃은 채 서로 치고받는 거대 야당의 내홍이 ‘정치적 신데렐라’처럼 된 그의 존재를 더 돋보이게 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김 당선인은 본인 앞에 놓인 과제가 엄중하다는 사실을 냉철히 자각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이번 선거는 말 그대로 자치행정 책임자를 뽑는 선거였다. 취약한 재정자립도에 인구 감소와 산업 기반 소멸의 복합 위기에 직면한 지자체가 경기도에도 여러 곳 있다. 빨라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는 선진 도(道) 행정으로 주민 요구·수요에 부응하지 못하면 중앙 부처 30년 관록도 일거에 무너질 것이다.

당장의 난제 현안도 쌓여 있다. 경기도 내 5곳 1기 신도시와 주변 지역의 재개발·재건축을 정부 및 관할 시와 공조해 순조롭게 처리해야 한다. ‘자기 정치’ 욕심을 뒤로하고 국토교통부·성남시와 협력을 해내는지 지켜볼 것이다. 대장동 의혹에 대한 진실 규명도 중요하다. 검경 수사와 별도로, 성남시에 대한 도 감사권 발동은 도지사의 권한이면서 동시에 의무다. 대선 때 후보 단일화를 했다는 이유로 전임자와 관련된 갖가지 의혹을 덮고 가린다면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이른바 ‘기본 시리즈’ 등 포퓰리즘을 근간으로 한 경기도식 복지 일탈의 정상화도 그의 책무다. 전임 이재명 지사의 소왕국으로 전락한 도 행정을 속히 바로 돌려야 한다. 인접 서울·인천과의 무난한 공조로 ‘메갈로폴리스 서울’ 경쟁력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수도권의 경쟁력은 대한민국의 국제 경쟁력인 만큼 당리당략 대상이 될 수 없다. 수도권 3개 시·도 공히 과거 GTX 도입 초기 때의 대립이나 쓰레기처리장 갈등 같은 마찰을 되풀이해선 안 된다.

그런 점에서 김 당선인의 성패는 ‘여의도’와 거리두기에 달렸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도지사로서의 성공뿐 아니라 향후 ‘더 큰 정치’ 재도전 여부도 도정의 합리화·정상화에 전력을 다하는 것에 달렸다. 김 당선인은 문재인 정부 첫 부총리로서 이념적으로 편향된 정책 노선과 정치 투신 이후 모호한 언행·행보로 적지 않은 논란을 남겼다. 자기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향후 대중정치인으로 다시 나서고 싶다면 보다 겸허한 자세로 경기도민의 기대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