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공급 구체적 대책없이 원자력발전만 줄여선 안돼
미세먼지 적은 LNG 발전…오존파괴 물질 더 많이 배출자원
박주헌 에너지경제연구원장은 23일 “원자력발전은 적정 규모로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에 국책연구원장이 ‘속도 조절’을 요구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박 원장은 이날 서울 신촌동 연세대에서 열린 ‘한국자원경제학회 춘계 정책토론회·학술대회’에 참석해 “전력 수급의 안정성을 위해 기저발전(원전 석탄화력발전소 등)은 당분간 그 역할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원장은 한국자원경제학회장을 맡고 있다.
박 원장은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발전원의 비중 조정은 국민이 전기요금 인상을 수용할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탈원전·탈석탄 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이 증가할 텐데 LNG 수급이 어려워지거나 가격이 오를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LNG 발전을 늘리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지키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원자력기구 보고서에 따르면 가스발전은 석탄보다 미세먼지를 적게 배출하지만 오존 파괴 물질은 더 많이 배출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작년 말 5% 미만인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끌어올리겠다고 공약했다. 박 원장은 “공약을 지키려면 51기가와트(GW)의 신재생발전 설비가 필요하다”며 “연간 3.7GW의 설비가 신규로 설치돼야 한다”고 말했다. 통상 원전 1기가 1GW의 전기를 생산한다.
박 원장은 “2029년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19%, LNG 비중이 28.1%로 각각 늘어나면 발전비용이 29.4% 상승한다”고 했다.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는 신재생발전의 특성을 고려해 ‘백업 설비’ 등을 설치하는 비용까지 감안하면 발전비용은 31.3~35.3% 증가한다. 발전비용 상승은 전기료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새 정부가 신재생은 좋은 것, 원전과 석탄은 나쁜 것이라고 이념화하고 있다”며 “대선후보 시절에는 대중적인 공약을 짤 수 있지만 집권한 뒤에는 전문가의 말을 듣고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에너지 정책의 목표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인데 지금은 특정 발전원을 없앨 생각만 하고 안정적 공급은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강승진 한국산업기술대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교수는 “그동안 정부는 전기료 체계를 크게 건드리지 않아 수요 관리에 실패한 측면이 있다”며 “수요를 줄이지 않고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그대로 실행하면 전력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허은녕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태양광 분야에서 한화큐셀 같은 세계적 기업이 있다”며 “정부가 새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면서 이런 기업을 어떻게 활용하겠다는 얘기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일본의 산업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0일 인터넷판에 보도했다. 한국은 그동안 원자력발전 덕분에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기요금이 낮았지만, 원전 비율을 낮추면 전기요금이 올라갈 것이라는 분석이다. 니혼게이자이는 그동안 한국의 값싼 전기요금은 해외 기업의 진출과 투자를 부르는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고 전했다. 일본의 철강 화학 등 소재업계에선 한국의 낮은 인프라 비용이 큰 위...
태양광·풍력 의존시 수급불안 증대…조화로운 전원 구성 필요 에너지경제연구원 '신정부 전원 구성안 영향 분석' 보고서 원자력과 석탄 발전량이 줄고 액화천연가스(LNG)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면 발전비용이 약 11조원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일 '신정부 전원(電源) 구성안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새 정부의 공약대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늘릴 때 ...
환경·시민단체는 탈핵, 업계·학계는 탈원전 '선호' 청와대 "탈핵과 탈원전 구분해 쓰려는 의도 없었다" 해명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9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행사에서 '탈핵 시대'를 선포했다. 원자력발전 위주 발전정책에서 벗어나 신재생에너지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중심의 청정에너지 정책을 펴겠다는 의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