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 금융지주회사의 최고 경영자가 내정된데 이어 자회사로 편입되는 4개 은행이 주총을 열고 은행장과 임원을 새로 선임했다.

이로써 총자산 규모만 1백조원에 이르는 거대 금융지주회사의 탄생을 목전에 두게 됐다.

금융지주회사가 주총과 설립등기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4월 정식 출범하고, 국민.주택은행의 통합 작업도 6월까지 완료될 계획으로 있어 그동안 혼선과 진통을 거듭해 왔던 2단계 금융구조조정은 이제 실천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시도되는 금융지주회사가 경쟁력 있는 금융그룹으로 태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우선 출범과정에서의 갈등 요인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노사정 합의를 통해 자회사로 편입되는 4개 은행에 대해서는 내년 6월말까지 독자생존의 기회를 주기로 한 바 있다.

하지만 지주회사 출범에 따라 자회사간 업무영역의 조정이나 점포 통합 등이 불가피한 현실에서 독자생존에 대한 해석을 두고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노사정간의 독자생존 합의를 존중해 실질적인 통합작업을 지연시킬 것인지 아니면 조기통합에 나설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이 지주회사에 맡겨진 1차적 과제다.

출범과정에서의 갈등요인 해소보다 더욱 중요한 과제는 책임경영체제의 확립이다.

금융지주회사에 이어 국민.주택 통합은행의 최대주주도 정부가 될 것으로 보여 은행경영에 있어 책임경영체제 확립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번 지주회사 소속 은행장 및 임원 선임과정에서도 일부 나타났듯이 정부가 낙하산 인사 등을 통해 경영에 계속 관여할 경우 책임경영체제 확립은 요원하다.

따라서 정부는 금융지주회사에 대한 경영간섭을 최대한 자제하는 한편 공적자금의 조기회수를 위해서도 민영화를 최대한 앞당길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아울러 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풀어야 할 난제도 수없이 많다.

천문학적인 부실을 고스란히 떠안고 출범하는 4개 은행의 경영정상화는 물론이고 이질적인 조직 통합에 따른 갈등해소 및 중복되는 점포 정리와 인력조정 문제는 난제중의 난제다.

또 지주회사와 자회사간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도 중요하다.

지주회사 조직이 비대해질 경우 자회사에 대한 지나친 경영간섭으로 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보다는 옥상옥의 지배구조에 따른 비효율만 초래할 가능성도 없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