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가 오는 11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선언하고 정부가 "금융지주회사법 후퇴 불가" 방침을 거듭 천명하는등 대립상을 계속하고 있는 것은 지극히 우려할 만한 일이다.

금융업무가 마비되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그렇지만 금융구조조정의 당초 취지는 온데간데 없고 노정간 대립과 사회혼란만 극대화될 수도 있겠기 때문이다.

우리는 정부와 금융노조가 대화를 통해 해법을 찾아주기를 고대하지만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일련의 진행 경과와 관련해서는 우선 정부의 미숙한 대응 태도부터 비난하지 않을 수 없게된다.

물론 금융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는 것이 그들이 표면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금융지주회사법에 국한된 반대의사 때문 만은 아니라고 봐야할 것이다.

또 비록 그것이 사소한 것이라 하더라도 정부가 추진하는 국정과제들이 집단이기주의에 밀려 표류하는 일이 반복된다면 이 역시 바람직한 일은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논란이 되고있는 금융지주회사법과 관련해 보더라도 이를 갑작스레 금융구조조정의 유일한 해법인 것처럼 내세우고있는 정부의 태도에서 적지않은 당혹감을 갖게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금융지주회사법 통과가 하반기 국정의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지만 금융기관의 점진적,자발적 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법률안을 두고 과장된 언사를 구사하는데 있어서는 노조와 하등 다를 것이 없다는 평가를 내리지 않을 수 없다 하겠다.

본란은 시급한 조속한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정부가 떳떳하게 나서 공적자금을 투입해야 한다는 일관된 주장을 펴왔지만 차일피일 이를 미루다가 지금에사 "금융지주회사법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펴는 것도 정당한 태도는 아니라고 본다.

정부가 금융기관의 일상적인 투자 활동에까지 개입해야 할 정도로 금융시장 자체가 시장기능을 잃고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떤 청사진을 가지고 지주회사법을 추진하는지부터 정부는 명확히 제시해야 하겠다.

정부의 약속대로 인원과 조직의 감축이 절대로 없다면 그런 지주회사의 기능이 무엇인지도 의심스럽기는 마찬가지다.

노조 또한 대화에 나서주길 바란다.

금융기관 종사자들의 입장이 어렵다는 것은 이미 충분히 전달된 만큼 고용안정 등에 대한 정부의 약속을 믿고 구조조정에 동참하는 것도 신중히 고려해볼 일이다.

당국과 노조가 모두 명분 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금융시장의 속내를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고 이에 걸맞는 보다 신중한 접근방법을 취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