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들이 사회복지사업, 교육진흥사업등 경제외적인 사회적
활동에 연평균 개별기업의 경우 3억8천여만원, 그룹별로는 33억여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자발적 사회참여폭 제한 **
그러나 기업들이 이같은 사회참여 활동을 정부요청에 의해 시작하는 경우가
선진국에 비해 높아 준조세문제와 함께 한국기업들의 자발적인 사회참여의
폭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1일 전경련부설 경제사회개발원이 국내의 1백3개 개별기업, 32개 그룹사,
33개 재단을 상대로 조사, 작성한 "한국기업의 사회참여 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88년 한해동안 이들 개별기업과 그룹사들이 사용한 사회참여
활동비를 평균 10억9천8백만원으로 매출액대비 0.26%, 순이익대비 4.9%로
분석됐다.
개별기업의 경우는 사회참여 활동비가 평균 3억8천2백만원으로 순이익
대비 1.66%에 그쳤고 그룹사의 경우는 평균 33억8백만원으로 순이익대비
16.2%를 차지했다.
이 보고서는 미국기업의 경우 세 공제후 순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이
84년 기준 2.61%로 나타나고 있어 우리나라 개별기업의 경우는 이보다
낮은 편이나 그룹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포함하면 훨씬 높은
수준이어서 결코 미국보다 낮은 수준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 사회참여 활동비 매출액 대비 0.13% 불과 **
그러나 일본의 경우 지난 77년 조사결과 42개 대기업의 평균 사회참여
활동비가 매출액 대비 0.6%인데 반해 우리나라 개별기업들의 평균 사회참여
활동비는 매출액대비 0.13%에 그쳐 우리나라 개별기업들의 사회활동
참여비의 수준이 높다고 할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사회활동을 하게되는 동기는 정부요청이 9.4%, 사회요청이
37.6%이고 회사자체의 동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은 53.0%에 불과, 기업들은
기업의 장기적 이익이나 경영목표와는 연관성이 적은 프로그램을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는 정부나 사회요청에 의한 비자발적인
부분을 줄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미국의 경우는 기업들의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중 5%만이 정부요청에 의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