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승 교수. / 사진=한경 DB
정재승 교수. / 사진=한경 DB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총괄계획가(MP) 정재승 KAIST(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공공 부문 데이터의 클라우드 활용이 어려운 점을 꼬집으며 규제 샌드박스 적용, 블록체인 접목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정 교수는 29일 한국오라클 주최로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클라우드 월드 서울 2019’ 기조강연자로 나서 “스마트시티가 돌아가려면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올려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공공 데이터를 (해외) 사기업의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행위 자체가 불법”이라고 짚었다.

그의 지적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공공기관용 추가 보호조치)에는 “클라우드 시스템 및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는 국내에 한정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해외 클라우드 서버에서 공공 정보가 유출될 경우 피해구제가 난망해 이같은 규정을 둔 것이다.

하지만 정 교수는 스마트시티 설계·기획 과정에서 스스로 체감한 걸림돌을 털어놓았다. 스마트시티 조성에 필수적인 클라우드 활용이 사실상 막혔단 얘기다. 오라클을 비롯해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유수의 해외 기업들이 클라우드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서다.

정 교수는 “그렇다고 해서 클라우드 시스템을 정부가 제공하긴 어려워 규제 샌드박스로 문제를 풀어갈 생각이다.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얹고 많은 이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스마트시티의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기업들이 보안 수준 등을 투명하게 공개, 품질 비교가 가능하게 해달라는 당부도 곁들였다. 그는 “내부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탓에 클라우드 시스템 보안이 얼마나 안전한지, 데이터를 어떻게 보관하는지, 백업은 잘돼 있는지 등을 알 수 없다”면서 “단순 가격비교를 넘어 예컨대 오라클과 AWS 중 어디가 나은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제공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클라우드는 개인정보 공개를 원하지 않는 익명성과 보안, 다른 한편으론 모인 개인정보 기반으로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은 투명성과 서비스, 양쪽의 모순적 요구를 받는다”며 “그 대안이 클라우드와 블록체인의 결합이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29일 열린 '클라우드 월드 서울 2019'에서 기조강연하는 정재승 교수.
29일 열린 '클라우드 월드 서울 2019'에서 기조강연하는 정재승 교수.
행사를 주최한 한국오라클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마련해 보안을 끌어올린 ‘2세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국내에 구축하고 한국 기업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청사진도 밝혔다.

김형래 한국오라클 사장은 “국내 기업들의 클라우드 전환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데이터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삼겠다”며 “오라클이 잘하는 데이터베이스(DB)를 중심으로 경쟁사보다 앞선 보안과 안정적인 성능,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국내에 데이터센터를 세우고 보안 인증을 받으면 공공 부문 클라우드 사업 진출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오라클이 내세운 2세대 클라우드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는 기업이 클라우드에서 개발·사용하는 코드와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코드 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해 보안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여기에 AI 기술로 외부 침입을 탐지해 데이터를 자동 복구하는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을 얹어 합리적 비용으로 안전한 보안을 갖추겠다고 덧붙였다.

이미 수주 사례도 확보했다. 현대상선은 정보기술(IT) 서비스 전체의 오라클 클라우드 전환을 위한 구축작업을 진행 중이다.

전통의 DB 분야 강자이자 선도업체인 오라클은 클라우드 분야에선 AWS와 MS에 뒤진 후발주자가 됐다. 이날 공개한 2세대 클라우드 승부수로 오라클이 시장 판도를 흔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