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무역 및 재정수지) 적자'로 대표되는 미국 경제의 취약성과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둔 미국의 정치 환경, 중국 위안화에 대한 각국의 절상 압력 등을 감안할 때 당분간 원화환율이 상승세로 돌아설 확률은 희박하다는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강력한 환율 방어 의지에도 불구하고 직·간접적인 시장개입 효과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며 "국내 기업들은 생산성 제고를 통한 가격 경쟁력 향상에 주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일본이 연간 1천억달러 이상의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는데 비해 한국은 겨우 수십억달러 수준의 경상수지 흑자를 내고 있는 만큼 원화 절상폭은 엔화보다 작을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들의 환차손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병행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정문건 삼성경제연구소 전무는 "환리스크 관리에 취약한 중소기업들을 위해 환율관련 보험상품 등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기업들이 구조조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끔 제도적 터전을 마련하고 법인세를 인하해 기업부담을 줄여 주는 방안도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수입대금 지급시점을 가능한 한 늦추는 것과 동시에 수출대금은 빨리 회수하는 '리드 앤드 래그(lead and lag)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고시대에 대응할 산업전략 수정 등 중장기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한영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는 원화환율 하락세가 장기화할 경우 자칫 성장동력을 상실할 우려가 크다"며 "환율 악재를 국내 산업구조의 고도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부가가치 상품을 생산하는 기술집약적 구조로 국내 산업을 재편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장동구 한국은행 국제경제팀장은 원화채권의 해외 발행을 촉진하는 등 원화의 국제화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밖에 원고 파고에 저항할 힘이 약한 중소기업을 위해 재정과 금융면에서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노사간 협상문화를 개선, 노동 유연성을 높이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한편 갈수록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미국의 중국 위안화 절상압력은 국내 경제에 득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송태정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위안화가 10% 절상될 경우 대(對)중국 수출이 늘어나 한국의 총 수출은 20억달러 가량 늘어나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나 미국의 통화절상 압력이 위안화에 그치지 않고 원화에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중국의 경제성장 활력이 떨어져 국내 상품에 대한 중국의 수입수요가 크게 줄어들면 위안화 절상으로 파생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반감될 것으로 내다봤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