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10일 이사회를 열어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을 의결했다. 포스코는 2000년 10월 민영화 이후 21년 만에 지주사 체제로 바뀌게 된다. 서울 대치동 포스코 사옥 앞을 시민이 걸어가고 있다.  /사진=한경DB
포스코가 10일 이사회를 열어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을 의결했다. 포스코는 2000년 10월 민영화 이후 21년 만에 지주사 체제로 바뀌게 된다. 서울 대치동 포스코 사옥 앞을 시민이 걸어가고 있다. /사진=한경DB
포스코그룹이 2000년 민영화된 지 21년 만에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다. 포스코를 물적 분할해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존속법인)와 철강사업회사인 포스코(신설법인)로 나누는 방식이다. 철강사라는 꼬리표를 떼고 2차전지, 수소 등 친환경 소재업체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10일 이사회를 열어 이 같은 방식의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을 의결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지속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선 그룹의 미래 신사업을 발굴하고, 사업 및 투자 관리를 전담하는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이 필수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분할 방식으로는 지주사가 사업회사의 지분 100%를 소유하는 물적 분할을 선택했다.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를 상장사로 유지하고, 철강사업회사인 포스코를 신설하는 방식이다. 포스코홀딩스가 사업회사 포스코 지분 100%를 보유하고, 포스코는 비상장사로 두기로 했다. 포스코홀딩스가 포스코,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에너지,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등 계열사를 거느리는 구조다.

포스코홀딩스는 그룹 차원의 미래 먹거리 발굴, 투자 관리, 연구개발(R&D) 등 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수소 생산과 리튬·니켈 등 2차전지 주요 원료 개발 등 신사업도 사업부 형태로 보유한다. 계열사에서 받은 배당을 투자 재원으로 신사업을 키우고, 일정 수준에 오르면 자회사로 독립시킨다는 계획이다. 2030년까지 기업 가치를 지금보다 세 배로 올리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포스코그룹은 철강사업회사 포스코뿐 아니라 수소, 리튬, 니켈 등 향후 지주사 산하에 신규 설립될 신사업 법인도 상장시키지 않겠다고 밝혔다. 물적 분할한 자회사를 상장하는 ‘중복 상장’에 대한 주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다.

지주사 전환은 내년 1월 28일 열릴 주주총회에서 확정된다. 포스코 지분 9.75%를 보유한 국민연금과 5.23%를 가진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 등 기관투자가들이 최대 관건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황정환/남정민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