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은 18일 세계경제의 90%를 차지하는 35개국을 대상으로 물가수준 등 경제상황을 종합분석, "전세계가 디플레에 직면할 가능성은 여전히 낮은 편(still low)"이라고 평가했다. IMF는 조사대상 국가들의 디플레 위험 정도를 높음(high) 보통(moderate) 낮음(low) 경미(minimal) 등 4단계로 분류, 이같이 지적하고 "하지만 일본은 디플레상황이 악화되고 독일 홍콩 대만에서도 그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또 한국 미국 중국은 디플레 가능성이 낮은 국가로 분류했으나,그 가능성을 완전 배제하지는 않았다. IMF는 "디플레 대책의 핵심은 통화정책"이라며 "적절한 정책수단을 동원하면 디플레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독일 홍콩 대만 디플레위험 커진다" =IMF 보고서는 전반적으로 '디플레 가능성이 염려하는 만큼은 높지 않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35개국중 11개 국가만이 디플레 가능성이 높거나 보통으로 분류된 것이 이를 말해준다. 하지만 독일 홍콩 대만의 경우 디플레위험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유럽경제를 이끌고 있는 독일의 경우 이미 물가상승률이 1% 미만인 상태에서 실업률(4월 11.6%)마저 치솟아 디플레 불황이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IMF는 이와 함께 중국산 저가수입품이 늘어나면서 홍콩과 대만경제도 디플레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디플레가 악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일본의 경우 좀더 강력한 통화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의했다. ◆ "한국 미국 중국은 디플레가능성 낮다" =IMF는 "주식 거품 붕괴 등에도 불구, 미국이 디플레에 빠질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또 달러 약세는 상대적으로 디플레 우려를 감소시킨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실업률(4월 6%)이 8%대로 치솟거나 향후 18개월간 성장률이 1%를 밑돌 경우 심각한 디플레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과 한국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디플레 가능성이 낮은' 국가로 분류됐다. IMF는 중국의 경우 △디플레 예방을 위한 중국정부의 통화.재정 확대 △민간수요 증가 △부동산가격 상승 등을 그 이유로 꼽았다. 하지만 사스(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가 장기화하면 디플레위험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